스페셜
"미래"(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내가 아님 누가 너랑 살아주냐’ 등의 후려치기를 통해 피해 여성이 더 나은 미래를 꿈꾸지 못하게하고 현 상태에 안주하게 만든다 (Smith, 2008). 약점을 일부러 만드는 경우도 있다. 빚을 지게 만들거나 직장을 그만두게 해서 피해자가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없게 만든다. 심한 경우 범죄 경력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USGS)은 최근 불과 2년 사이 추정 매장량을 세 배로 올렸다. 게다가 논문에서도 미래의 리튬 공급원으로 바닷물을 언급하고 있다. 다음으로 코발트를 분석했다. 코발트는 크게 두 가지 광산에서 나온다. 먼저 니켈광산으로 니켈을 얻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코발트가 나오는데 양으로 따지면 니켈의 5% ...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지구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영원할 수 없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지구 밖 별들로 시선을 돌리고 우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4년에는 영국 채널4의 TV프로그램 ‘우주에서의 생중계-지구 한 바퀴’에 출연해 “50년 안에 인류는 달에 정착해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BBC 인터뷰를 통해 “핵 위협, 바이러스,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로부터 향후 100년이 지구의 미래에 매우 결정적인 시기가 될 것”이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온전한 인공지능의 개발은 인류의 종말을 불러올 수 있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진화할 수 있는 단계가 되었을 때, 그들이 인류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세상엔 별난 사람들이 많지만 미국의 컴퓨터과학자이자 발명가, 미래학자로 ‘쉬지 않는 천재’로 불리는 레이 커즈와일은 그 가운데도 손에 꼽히지 않을까 싶다. 수년 전 필자는 잡지인가 인터넷인가에서 특이한 사진을 봤다. 커즈와일의 얼굴과 함께 알약이 수백 개 있는 ...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2018.02.01
- 명칭을 두고 논란이 있었듯 손놓고 있다간 백두산 이름찾기 논쟁도 해야할 판”이라며 "미래의 안전을 위해, 그리고 한국적 유산을 지키기 위해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남과 북이 힘을 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을 통해 남북관계의 물꼬를 이어가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도 긍정적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앞으로 괜찮을까?’라며 시공간을 헤맨다. 과거를 돌아보며 자신을 성찰하고 머나먼 미래를 상상하며 계획을 세우는 뛰어난 능력의 한 가지 부작용으로, 우리 인간은 과한 질책과 불안을 떠안게 되었다. 실제로 생각에 잘 빠지고 하루에도 몇 번씩 마음이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친환경 인디고 제조 및 염색법이 채택돼야 할 것이다. 미래에는 블루진에도 녹색(green)을 입혀야 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엔지니어인 조앤 워커(Joan Walker)는 특별한 실험을 진행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된 미래의 상황을 현재 운전사가 있는 조건으로 대체해 실험을 설계한 것이다. 그녀는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13명의 운전자에게 일주일 동안 최대 60시간 동안 운전 기사가 주행하는 자동차를 사용하고 바뀐 여행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평소 생명과학의 발전을 깊은 애정으로 지켜보는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