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접
액세스
엑세스
가까움
접근연합
연합
교제
뉴스
"
접근
"(으)로 총 2,88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곳곳서 일어나는 캠프파이어 포착...가장 가까이서 촬영한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여러 차례 행성의 중력도움(플라이바이)을 받아 궤도를 수정하며 목표한 임무 궤도에
접근
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오후 12시35분(한국시간) 첫번째 근일점을 통과했다. 근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물체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을 뜻한다. 첫번째 근일점을 통과하며 촬영한 태양 사진이 보정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태양과 가장 가까워진 뒤 다시 태양과 서서히 멀어지고 있다. 23일 지구와 가장 가깝게
접근
할 예정이다. 니오와이즈 혜성의 이온꼬리와 먼지꼬리를 표시했다. 5일 저녁9시 24분 보현산천문대에서 천문연 전영범 책임연구원이 촬영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니오와이즈 혜성은 1997년 헤일밥 혜성 ... ...
태양 표면 작은 폭발까지 드러낸 최근접 태양 이미지들
연합뉴스
l
2020.07.17
본격적인 과학탐사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궁극에는 수성 궤도 안쪽인 4천400만㎞까지
접근
하며 인류 최초로 태양 극지를 들여다보게 된다. [E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SA 솔라 오비터 프로젝트 과학자 다니엘 뮐러는 "첫 이미지들은 기대한 것 이상으로 이전에는 자세히 관측할 수 없었던 매우 ... ...
거미줄 쏘고 전기장 걸면 68배 무거운 물체가 붙잡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때 물체 표면을 흐르는 미세한 전류에 영향을 받는 원리를 활용했다. 물체가 충분히
접근
했을 때만 끌어당기기 때문에 엉뚱한 물체가 달라붙은 상황을 방지한다. 선 교수는 “실험 결과 벽 너머에 있는 물체도 감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에 적용하면 ... ...
슈퍼컴 '누리온' 국제 코로나19 백신 연구 지원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국내 연구자들에게는 세계의 슈퍼컴퓨터 자원에
접근
하고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접할 좋은 기회가 될 것”ㅇ라고 말했다. ... ...
국내 의료진 10명 중 7명 "희귀질환 환자 치료 불충분"
연합뉴스
l
2020.07.16
진단 및 관리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정확한 진단 도출'(72.4%)과 '의약품에의
접근
성'(58.6%)을 꼽았다. 또 응답자의 80% 이상이 질환 인식을 높이고 환자 교육과 지원을 제공할 환자단체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에 연구팀은 희귀질환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정부가 ▲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방식 개선 ... ...
"백신 동등한
접근
권 보장해야" 문 대통령 등 8개국 정상 기고문(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노력을 평가한다. 아울러, 우리는 개발도상국 취약 계층의 백신에 대한 가용성 및
접근
성 보장을 위한 국제백신연구소(IVI)의 역할을 평가하며, 국제적 노력을 조율된 형태로 추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유엔 사무총장의 리더십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프랑스와 튀니지가 초안을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제대로 된 논문이 아닌 연구 결과는 주의를 기울이며, 특히 보도자료일 경우 신중히
접근
할 것을 권했다. 연구팀이 지적한 내용은 국내 코로나19 보도에도 모두 해당하는 말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주요 치료제 및 백신 연구개발 성과가 나오면 시차를 두고 한국에도 그대로 번역되는 경우가 ... ...
국내 연구진 북극 극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인체에도 위해를 가할 수 있어 발생원과 이동 경로 파악이 중요하지만, 북극해는
접근
이 어려워 그 동안 제대로 된 관측이 이뤄지지 못했다. 연구팀은 2017년 여름 약 25일 동안 쇄빙선 아라온 호를 타고 시베리아 북쪽 및 알래스카 북쪽 등 북극해 지역의 대기에서 지름이 3~1000nm인 극초미세먼지를 ... ...
물대포 쏘듯 분사해 화학물질 누출사고 잡는 과립형 중화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60도에 그쳤다. 기존 분말 중화제의 중화열은 최대 180도로 높아 그동안 사고지점 가까이
접근
하기가 까다로웠다. 중화열이 낮은 데는 중화제 발열량이 낮고 중화반응에서 발생하는 발열반응이 한꺼번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중화제에 쓰인 점토가 중화반응 속도를 지연시켜 열을 서서히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