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외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진단 속도·정확도 높인다
2020.12.03
연구실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연구실에서 이뤄지는 테스트나 실험이 실제로 정확히
작동
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실제로 코로나19 진단에 가장 널리 활용되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진행할 때도 피검사자의 DNA 염기서열을 코로나바이러스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해 양성 ... ...
[코로나 시대 혐오]④ 점점 예민해지는 사회, 우울과 스트레스 악순환 빠져든다
2020.12.01
혐오 민감성과 특정집단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혐오 민감성이
작동
되면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이는 특정집단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낮추고 거리감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유지현 서울대 인류학과 연구원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행동면역체계로서의 ... ...
'붉은 행성' 화성 짠물서 수소 연료와 산소 직접 뽑아 쓴다
연합뉴스
l
2020.12.01
과염소산마그네슘 용해액을 넣고 화성 대기 환경을 상정한 영하 36도에서 전기분해
작동
실험을 진행했다. 라마니 교수는 "우리가 만든 화성 짠물 전해조가 화성은 물론 더 먼 우주 탐사의 필수 물자 조달 방식을 급격히 바꿔놓는 것"이라고 밝히고, "지구에서도 바닷물을 산소와 연료원으로 ... ...
피부에 붙여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유연성·효율성·대량생산 세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KIST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온 감지 센서 장갑 등 실제 웨어러블 기기를
작동
시키는 데 성공했고 향후에는 체온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동시킬 수 있는 열전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자동화 공정으로 웨어러블 기기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5호 달 400㎞상공 도착…가장 젊은 달 토양 싣고 내달 지구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9
두 번의 궤도 수정을 거쳐 목표지점에 도착했으며 현재 창어 5호의 장비도 모두 정상
작동
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달 상공에서 고도 수정 등 궤도 조정을 거쳐 달 착륙을 준비할 예정이다. 창어 5호의 착륙 위치는 달 북서쪽 지역에 위치한 ‘폭풍의 바다’라 불리는 곳이다. 이 곳은 12억1000만년 전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공유는 좀처럼 일어날 수 없다. 자연의 세계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란 원칙으로
작동
하는 것이 아니다. 텃세 격화로 인해서 아무도 살지 않는 세력권 분계가 생기는 것은 슬픈 일이다. 세력권은 단지 힘으로만 지배되는 엄혹한 자연의 질서가 아니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주디 ... ...
[프리미엄 리포트]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 '알트(ALT)' 에 주목하라
2020.11.28
2개의 세포가 된 시기에 특정한 유전자가 발현되고, 그 결과 알트와 유사한 기전이
작동
해 세포의 텔로미어 길이가 상당히 길어진다. 동일한 현상이 실험실에서 배양한 생쥐 배아줄기세포 중 일부에서도 관찰됐다. 필자가 속한 서울대 생명과학부 유전과 발생 연구실에서는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유효기간’은 최소 6개월
2020.11.27
코로나19 증세가 사라진 뒤에도 장 속에 남아 있던 바이러스 조각들이 면역체계를
작동
시켜 면역반응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이런 발견은 백신이 얼마나 효능을 지속할지에 대한 추정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백신에 의해 형성되는 면역력은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물 분자를 내뱉는 흡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에어컨의 10분의 1 정도 전기로
작동
한다. ○ 친환경 냉방시스템 소재로 주목받는 금속 유기 골격체(MOF) 흡착식 냉난방기의 원리는 오래전부터 고안됐다. 하지만 마땅한 흡착제가 없어 구현하지 못해왔다. 이상적인 흡착제는 증발한 물 ... ...
레이더 핵심 부품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주고받는다. 만약 고출력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출력을 스위치가 견디지 못하면 오
작동
을 일으킨다. 연구팀이 개발한 집적회로는 두 대역에 대해 각각 40W, 30W의 출력을 견딜 수 있다. X대역을 사용하는 AESA 레이더는 고출력 증폭기가 10W까지 신호를 증폭하므로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수준이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