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
세대
유전자가위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배상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유전자가위는 DNA 내 특정 유전자를 정확하게 자르거나 편집하는 도구다. 1990년대 1
세대
징크핑거가 개발된 후 2
세대
탈렌, 3
세대
크리스퍼로 발전했으며 지금도 보다 안전하고 정밀한 유전자가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는 표적 DNA의 염기를 다른 ... ...
[과기원은 지금] 정모세 UNIST 교수팀, 소형 차
세대
가속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성공했다고 밝혔다. 빔 진행 방향으로의 위상공간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기술로 소형 차
세대
가속기 실용화가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공개됐다 ... ...
누리호 뛰어넘는다...달·화성 탐사용 차
세대
우주발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발사대를 개축해 저궤도 위성과 우주탐사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발사대를 확보한다. 차
세대
발사체는 개발기간 동안 총 3회 발사한다. 발사체의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만큼 우선 2030년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을 발사해 발사체 성능을 확인하고, 2031년 달 착륙선 검증선을 발사한다. 2032년 달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2]"지구관측 시장 80조원 규모...아직 초기 단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맺고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우주개발 다음
세대
를 준비하는 시점에서 정부의 방향성과 정책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⑭ 의학용어 개정은 미래
세대
를 위한 것
2022.11.29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의학용어의 개정은 현재도 중요하지만, 미래를 내다보면서 미래
세대
들이 익혀가야 할 용어를 정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의학용어는 법률용어, 군사용어, 과학용어 등 다른 전문용어와 마찬가지로 쉬운 우리말 용어로 변경해 달라는 국민들의 요구가 꾸준하게 있고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2] ESA "3살부터 우주 교육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유럽의 우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온라인 캡처 "유럽우주국(ESA)은 차
세대
우주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3세부터 18세까지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카데미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8일 서울 서초구 ... ...
광복 100주년 2045년 화성 간다...대통령이 국가우주위원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우주 경제 시대를 준비해 나가기로 했다”며 “미래
세대
에게 달 자원과 화성의 터전을 선물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우주산업계에서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우주산업 진흥을 위한 첫 발자국이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⑬ 새로운 용어 검토 체계 마련돼야
2022.11.28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진화되고 한글과 영문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게 훨씬 더 편한
세대
가 의과학용어만 어려운 용어로 이해 안되지만 외워서 사용하는 것은 국가적 에너지 소모라고 볼 수 있다. 모든 의과학용어를 바꿀 수는 없겠지만 많이 쓰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의 경우 과학계의 합의를 ... ...
코로나 파괴 인공효소 만드는 '합성생물학' 혁신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있다"며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16일 공개했다. 차
세대
항바이러스 약물로 활용이 기대되는 이 효소는 생명과학에 공학 기술을 적용해 생명체의 구성 요소나 시스템을 설계, 제작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활용하는 합성생물학 기술로 개발됐다. 미국 화이자나 ... ...
[과기원은 지금] 최경철 KAIST 교수팀, OLED로 소아황달 치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DGIST)은 에너지공학과 이홍경·이용민·이호춘 교수 공동연구팀이 차
세대
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7월호에 공개됐다. ■김윤수 광주광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는 22일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