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모형' 확장할 새 힘 발견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자신들의 실험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발견에 성공했다. 당시 이웃 MIT 연구팀은 입자의
빛
특성(스펙트럼)을 측정해 원자핵 내부의 정보를 관측하면 동위원소 별로 각기 다른 스펙트럼이 측정된다는 사실을 연구하고 있었다. 동위원소는 원자핵 내부의 양성자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는 다른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중력렌즈 현상은 연구팀이 예상한 것보다 수십 배 강한 적색편이 현상을 나타냈다.
빛
의 파장이 늘어나 보이는 현상인 적색편이는 중력렌즈 효과가 강할수록 크게 나타나 중력렌즈 효과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연구팀은 이런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을 표준우주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갈수록 점점 강해져 어느 구면(사건지평면 혹은 슈바르츠쉴트 반경) 안으로 들어가면
빛
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소위 블랙홀 영역이 존재한다. 둘째, 이 블랙홀 영역의 중심에는 시공간 휘어짐이 무한대로 커지는 소위 특이점이 존재한다. 1920~1930년대에는 이와 같은 블랙홀 해의 의미에 대해 많은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펄스비행시간은
빛
의 펄스가 측정 대상에 부딪혀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 뒤
빛
의 속도를 이용해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실험결과 1cm 범위에서 1나노미터보다 작은 차이를 2만분의 1초 내에 측정할 수 있다. 기존 기술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1960년대 초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집어삼키는 에너지 때문에 별처럼 적색으로 밝게
빛
나는 블랙홀을 포함한 은하인 퀘이사가 발견된 이후로 물리학자들은 큰 은하 가운데는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발견될 것으로 추측해왔다. 미국의 천문학자 헤일로 섀플리는 우리 은하의 형태를 확인한 모형을 ... ...
아직 한번도 안받았나? 블랙홀, 노벨상 수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이론에 따르면
빛
이 중력장을 벗어나면 에너지를 잃고, 이에 따라 파장이 길어지면서
빛
의 스펙트럼이 파장이 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중력 적색편이’가 일어난다. 연구진은 당시 이를 정확히 관측했다. 겐첼 소장은 “두 번째 관측이지만 이번에는 장비가 훨씬 좋아져 더 정교하게 관측할 수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일본 등 전세계 연구자 200여명으로 구성된 ‘사건지평선망원경(ETH)’ 연구팀은 지구에서
빛
의 속도로 처녀자리 은하단의 한가운데에 있는 M87 초대질량 블랙홀의 모습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하고 그 모습을 공개했다. 겐첼 소장과 게즈 교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 ...
[Q&A] '어린이 괴질'의 모든 것
2020.10.06
통증 또는 압박감 -전에 없던 혼란 증상 -깨어나지 못하거나 의식을 유지하지 못함 -파란
빛
의 입술 또는 얼굴 -극심한 복통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부모용 COVID-19 관련 소아 다기관염증증후군 자료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daily-life-coping/children/mis-c.html 우리 아이는 어떻게 ... ...
'최고령' 96세에 노벨상 받은 미 물리학자 애슈킨 별세
연합뉴스
l
2020.10.05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201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광학집게는 레이저
빛
2개의 압력을 이용해 입자를 움직이고, 고정하는 장치다. 애슈킨 박사가 1987년 이 광학집게로 살아 있는 박테리아를 손상 없이 집는 데 성공한 뒤 생물학 연구에서 광학집게는 없어서는 안 될 기술로 자리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합성 기술 등이 수상권에 근접한 연구 성과로 꼽혔다. 광유전학은 이름 그대로
빛
에 반응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신경세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광유전학은 자극과 행동 관계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신경계를 미세하게 직접 조정함으로써 난치성 신경계 질환 환자들을 치료하는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