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가려낸 '인 마이 라이프' 진짜 작곡자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8.10.14
매카트니의 말만 듣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과연 진실을 밝히기 힘든 걸까? 위키
미디어
제공 통계가 지목한 In My Life 작곡자는 존 레넌?! 최근 마크 클리크먼 미국 하버드대학교 통계학과 교수와 제이슨 브라운 캐나다 댈하우지대 교 수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 마이 라이프의 원작곡자를 ... ...
전국 도서관 과학강연 ‘10월의 하늘’ 27일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3회 행사 때는 당시 구 서울역사를 개조해 새로 문을 연 ‘문화역서울’에서 열린
미디어
아트 전시와 함께 진행됐다.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교수는 SNS를 통해 뜻이 모이고 흐르는 과정을 자발적 참여자의 동작과 실시간 트위터 메시지로 역사 건물 내부에 표현했다. 자발적인 ‘플래시몹’ ... ...
날강도 갈매기
팝뉴스
l
2018.10.09
낚아챘다. 사진은 어이없고 당황스러운 상황을 절묘하게 포착했다.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인기가 높은 사진은 날강도 같은 갈매기의 ‘아이스크림 탈취’순간을 담았다. 사진 공개자가 얼마나 놀라고 황당했을지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사진 속 상황이 긴박하다. ※ 편집자주 ... ...
유대인 강제수용소에서 탄생한 '벽돌공장 문제'
2018.10.09
투란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적었거든요. 벽돌공장 문제를 만든 투란 팔. - 위키
미디어
제공 강제노동 중에도 수학 생각 강제 수용소에서 일하는 것을 감시하던 장교가 투란의 이름을 우연히 듣고, 수학자냐고 물어봤다고 합니다. 그 장교는 여기에 오기 전 인쇄소에서 교정 보는 일을 ... ...
애인과 친구 사이, 화제의 멀티태스킹
팝뉴스
l
2018.10.08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화제가 되며 웃음을 준 사진이다. 화제의 이미지는 인간의 뛰어난 멀티태스킹 능력을 보여주는 사진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재조명되고 있다. 남자는 애인과 입을 맞추는 동시에 쓰러질 것 같이 만취한 친구를 붙잡았다. 두 가지 어려운 일을 동시에 해내고 있는 것이다. ... ...
고양이 다이어트 비포 애프터
팝뉴스
l
2018.10.07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전후 비교 사진이다. 고양이의 다이어트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락 한다. 미국인 사진 공개자의 설명에 따르면 고양이는 원래 많이 먹고 운동도 하지 않아 갈수록 살이 쪘다고 한다. 걱정이 커진 보호자가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운동을 열심히 ... ...
스파이더맨 같은 남자 친구
팝뉴스
l
2018.10.02
자세를 취하고 시진을 촬영했을까. 합성 사진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미지는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 일부 네티즌들은 사진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하는 댓글을 남긴다. 사진 속 남자는 “스파이더맨 같은 남자 친구”라 불리며 웃음을 선물하고 있다.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영화 ‘파니스페르나 거리의 청년들(I ragazzi di via Panisperna)’의 한 장면. - 위키
미디어
제공 가상의 스토리에서도 많은 실제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이 등장했다. 1989년 개봉한 이탈리아의 영화 ‘파니스페르나 거리의 청년들(I ragazzi di via Panisperna)’과 2002년 영국 영화 ‘코펜하겐’, 2014~2015년 방영된 ... ...
고양이의 반중력 균형 잡기 능력
팝뉴스
l
2018.09.30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큰 화제가 된 이미지다. 사진은 고양이의 숨겨진 능력 한 가지를 보여준다. 고양이는 중력을 거스르는 균형 잡기 능력을 갖고 있다. 왼쪽 사진을 보면 종이 박스 위에 앉아 있는 고양이의 모습이 보인다. 뭐 특별할 것은 없는 것 같다. 그런데 클로즈업한 오른쪽 사진을 ... ...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윌리엄 쇼클리(가운데) 등 과학자 3명. 이들은 195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위키
미디어
제공 ● 최다 배출 분야는 입자물리학…최근엔 천체물리학서 수상 늘어 현재까지 노벨 물리학상을 가장 많이 받은 세부 분야는 입자물리학(입자·장·원자핵), 원자물리학, 응집물질 등 3개 분야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