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출도 했다.건축학과는 외국 대학과의 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건축 분야는 국제적
활동
이 많고, 예술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는 만큼 세계적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서울대 건축학과는 싱가포르국립대와 매년 학부생 5명을 보내는 ‘NUS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9] 면접과 구술고사 대비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 성적과 수능 점수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웠던 학생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서류와 면접을 통해 정성적으로 종합 ... 의미를 되새기면서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활동
을 미리 기록한다면 면접이라는 집을 단단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
[현장취재] 우리는 지사탐 패밀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야간탐사가 가장 기대된다”고 말했어요. 또한 빠른거북팀의 김지우 대원은 “첫 지사탐
활동
인 만큼 열심히 참여해서 꼭 수료하겠다”고 앞으로의 각오를 밝혔답니다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노하우가 있다면? 수학뿐 아니라 산업 현장에 가거나 공학 분야를 공부해보는 등 다양한
활동
을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저 역시 그렇게 했지요. NG! 숏터뷰 뒷이야기김 기자도 모든 수상자를 취재할 순 없었다! 수상자 중 취재에 실패한 두 명의 필즈상 수상자의 취재 실패담을 소개한다 ... ...
[과학뉴스] 세균으로 충전하는 종이배터리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만들었다.종이배터리에 물이나 침을 묻히면, 몇 분 내로 동결건조됐던 세균이
활동
을 시작해 전력을 만들어 낸다. 최 소장은 “종이는 값싸고 유연하면서 표면적도 넓기 때문에 재료로서 장점이 많다”며 “종이배터리를 여러 겹으로 접어 향후 발전 성능을 1000배로 향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근력뿐만 아니라 악기 연주 같은 세심한 움직임도 쉽지 않다. 정 교수는 “뇌의 원활한
활동
이 장기간 중단돼 오랫동안 뇌 회로를 쓰지 못한 상태”라며 “의식이 돌아왔다고 해도 뇌 속 회로들의 연결이 정상화돼 뇌 기능을 회복할 때까지는 높은 수준의 연주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 ...
[Origin] 일본이 다시 한반도의 품으로? 동해 지각판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있다. 이런 압축력 때문에 동해의 서쪽과 동쪽 경계부에서는 다양한 지각 변형 및 역단층
활동
이 일어나고 있다. 지진 또한 빈번하다. 특히 일본과 접한 동해의 동쪽 경계에서는 1983년 ‘일본해 동부 지진’이라고 명명된 리히터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일본 지질학자들은 해당 경계를 동해의 ... ...
중앙대 중앙사랑장학생 박준우 - “실수와 실패가 합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소프트웨어 분야에 최적화된 학교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면서 교내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실무 경험도 함께 쌓아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그는 “대학 생활을 하면서 그동안 미뤄왔던 고민인 어떤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은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 씨는 ... ...
[서울대 건축학과 재학생 인터뷰] 건축학은 공학과 인문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관심 가는 동아리에는 모두 가입했다. 의욕이 넘쳐 일단 동아리에 가입은 했지만, 모든
활동
을 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결국 가장 좋아하는 건축 동아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탈퇴했다. 장 씨는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다른 것을 포기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말했다. 장 씨의 다양한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관심을 갖고 검역 현장에서 철저한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 또한 정부는 곤충의 습성과
활동
시기를 잘 파악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투자에도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류동표충북대에서 응용곤충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국립식물검역소 연구원과국립산림과학원 박사후연수생을 거쳐 2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