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온도는 영하 268℃경기장 길이 : 약 100nm(0.0001mm)코스 : S자 형태(20nm 달리기+한 번 턴하기+50nm 달리기+한 번 턴하기+20nm 달리기)경기 시간 : 최대 38시간레이스를 시작하기 전에 트랙을 청소하는 시간 : 최대 6시간주의! 나노카를 미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음. 스스로 달려야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습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유기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B를 흡수해 무해한 열에너지 형태로 바꿔 없애는데, 이 과정에서 활성산소와 같은 유해한 광 생성물이 생깁니다. 피부세포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다분하죠. 자외선차단제가 피부에 흡수되는 것도 문제입니다. 지난해 4월 열린 제98회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구충, 그리고 돼지편충과 쥐조충이다. 돼지편충과 편충은 알이 담긴 액체를 마시는 형태로, 쥐조충은 유충이 담긴 액체를 마셔서 소화기관에 기생충들이 자라게 한다. 구충은 피부에 유충이 있는 붕대를 감으면 유충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소화기관으로 이동한다.2종 이상의 기생충을 조합해 치료에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또, 연구팀은 서로 다른 12종의 반날개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모두 개미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했다고 밝혔어요. 이렇게 서로 다른 종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비슷하게 진화하는 과정을 ‘수렴진화’라고 해요. 일리 속고 있는 불쌍한 개미들에게 한 마디 해 줘! 반날개 비록 개미들을 속이고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찔할 지경이었다.“토착 생명체의 체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액체에 이 가루 형태의 에너지원을 용해시킨 뒤, 신체 내부로 연결되는 노출된 구멍을 통해 주입하는 방법을 시도한다.”“토착 생명체의 체내에 가장 흔한 액체는 물이옵니다.”“좋다. 중력 렌즈 압축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무기를 장착하고 있다는 거예요. 쿠라타스는 팔을 플라스틱 총알과 물통을 던질 수 있는 형태로 바꿨어요. 메가봇의 마크2는 페인트 총알을 시속 193km/h로 날릴 수 있지요. 사람들은 두 로봇이 배틀에서 팔에 달린 무기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요.한편 퓨리온의 ‘로보틱스’는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분석을 이용해 악성 흑색종을 진단한다. 프랙탈 이미지 분석은 프랙탈처럼 비슷한 형태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구조가 이미지에서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는지 분석하는 방법이다.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에 생긴 종양으로,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어디에나 발생할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단일광자 통신기술의 구조를 보자(61쪽). 우선 레이저의 빛을 감쇄기를 이용해 단일광자 형태로 변환시킨 뒤, 빔스플리터로 광자를 두 개로 나눈다. 두 개의 길 위에 완전히 랜덤하게 돌아가는 편광판과 함께 위상을 90°로 바꿀지 또는 180° 바꿀지 결정하는 순수난수생성기, 그리고 실제로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출신의 표본을 가지고 있다. 두 지역은 비록 지금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유사한 지층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서 학계에서는 이를 토대로 지구의 옛 역사를 추리하고 있다. 학자들은 호주와 아프리카를 하나로 이은 고대의 대륙을 두 지역의 이름을 합성해서 ‘발바라(카프발+필바라)’라고 부른다.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의심됐던 성분은 보존제 ‘티메로살’이다. 하지만 티메로살은 체외로 쉽게 배출되는 형태의 화합물이다. 티메로살이 신경독성을 일으킨다는 과학적 근거는 전무하다. 게다가 최근에는 백신의 보존제로 티메로살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티메로살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자폐증을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