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d라이브러리
"
큰물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월 15일 폐암 환자 김 씨와 가족 등 31명은 “30년 넘게 담배를 피워 폐암이 생겼는데 KT&G가 담배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며 국가와 KT&G를 상대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가 패소했다. 2007년 첫 재판에 이은 고등법원 항소심이다. 재판부는 “흡연은 개인의 선택이므로 담배 회사가 배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흰개미를 직선과 곡선 길에 풀어 놓고 관찰한다. 또 어항에 물고기를 기르며 동물 실험도 한다. 복잡한 수식만 나열할 것 같은 수리연에서 왜 이런 실험을 하는 걸까?바닷속에서 상어 한 마리가 물고기를 사냥하려고 물고기 떼 가운데로 달려든다. 여유롭게 헤엄치며 뭉쳐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 아니 어떤 영화도 그렇게 무서운 장면을 담담하게 담아낸 적은 없었다. 해저 지진이 만든 집채만 한 지진해일(쓰나미)은 고속열차와 같은 속도로 돌진해 순식간에 평화로운 어촌을 집어 삼켜 버렸다. 목조건물은 산산조각이 났고 자동차들이 물살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 ... ...
옥수숫대에 얼음종이 맺혔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기상청이 3월 23일 세계기상의 날을 기념해 기상사진전을 개최했다. 이번 사진전에 응모한 작품은 총 1401점으로 이 중 50점이 입상했다. 최우수상 작품은 옥수숫대에 작은 종 모양의 얼음결정이 달린 노주현 씨의 ‘얼음종’이다.이 밖에 버섯, 모자, UFO를 닮은 신기한 구름과 노을 같은 기상현상을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국·미국·영국의 스포츠 선수와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공의 법칙으로 통하는 마태복음 효과가 증명됐다. 정우성 포스텍 교수와 미국 보스턴대 유진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통계물리학을 이용한 이 연구를 지난해 12월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었다. 정우성 교수가 직접 성공의 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희망의 옹달샘 - 무동력 정수기마실 물을 구하기 위해 하루에 몇 km씩 걷는 사람들. 비록 흙탕물이건만 살기 위해 그런 물이라도 마신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이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오염된 물로 인해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번에 황당맨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해야 모든 일이 술술 풀린다는 뜻이다. 집이 사람에게 심리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집이 건강해야 사람도 건강하게 살 수 있다. 건축가는 사람의 건강을 고려해 건물을 지어야 하며, 거주자는 집을 건강하게 관리해야 한다. 우리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치약이 염기성인 이유우리는 매일 양치할 때 치약을 사용한다. 치약의 주성분은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이다. 치약은 과 같이 pH8~9의 염기성이다. 왜 염기성 물질일까? 우리의 입속은 pH7 정도의 중성으로 유지돼야 한다. 그런데 음식을 먹고 나면 입속의 pH는 중성인 7보다 조금 낮은 6.5 정도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줄거리 아론은 카네기멜론 공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인텔사에서 5년간 근무했다. 하지만 평소 좋아하는 등반과 탐험을 자유롭게 즐기기 위해 회사를 그만두고 시간 여유가 더 많은 스포츠용품점에서 일한다. 그러던 어느 날 미국 유타 주의 블루존 협곡으로 홀로 여행을 갔다가 조난을 당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가축이 300만 마리를 훌쩍 넘어섰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에서 소와 돼지가 멸종하겠다는 이야기까지 공공연히 나돈다. 구제역이 이렇게 큰 피해를 입힌 데는 초기에 방역을 제대로 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가축을 좁은 공간에 가둬 기르는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 근본적인 문제라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