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브라이언 그린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 분류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
에 소개된 다중우주의 순서는 4단계 우주와 거의 비슷하다. 이 기사에서는 끈이론과 관련한 부분을 따로 파트로 묶었기 때문에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를 뛰어넘은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남십자성에 이르기까지. 덤으로 호주를 여행하는데 필요한 에티켓과 지식까지 갖춘 이
책
은 일종의 ‘서호주 사용설명서’다.학습 근육을 키워라박 연구원과 함께 서호주를 다녀온 24명의 탐사대원들은 출발 전까지 어떤 준비를 했을까. 무려 14주 동안 일주일에 4시간씩 서호주에 대해 공부했다.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재능이 있는지를 아는 것이 좋다. 네 과목 모두 각각 공부를 조금씩 하면서 관련 분야
책
을 읽어야 한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선행학습을 하는 것이 부담도 덜하고 효과도 좋다. “살수 있는 날이 하루 밖에 없다면 뭘 하고 싶어?” “별로 생각한 게 없어요.” “한번 생각해보렴.” “음…. 최대한 ... ...
국어도 만화도 쑥쑥 ~ 조주희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느낌이 정말 좋아요.
책
읽는 것을 좋아해 도서관에자주 갔어요. 도서관에서 여러 종류의
책
을 읽는 것은 국어를 공부하는 데도 매우 큰 도움이 된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도서관을 자주 애용했으면 좋겠어요.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렇다는 것을 발견했다. 죽기 직전인 1543년에 발간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라는
책
은 지동설과 현대과학의 시초다. 인간의 속성을 따라 관찰자인 나를 우주의 중심에 놓고 세상을 바라보는 한,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없다는 그의 견해를 오늘날 ‘코페르니쿠스 원리’라고 부른다.지동설은 그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렸을 때부터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자연계 학생들도 글쓰기,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성 교수는 10년 뒤에는 연료전지 기술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 고등학생들이 연구자의 길로 들어선다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할 시기다. 성 교수는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런 막연한 설명으로 가득한
책
도 대중과학서의 이름으로 많이 출간됐다. 물론 이
책
에도 가설과 추측은 상당히 많이 들어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 사실을 숨기지 않는다. 숨기지 않고 드러내기에, 독자는 적어도 올바르게 판단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든다고?공부하다가
책
위에서 잠이 들었다. 일어나보니 입에서 침이 질질 새고 있다.
책
에 흘린 침방울을 들여다보자. 혹시 침방울 아래의 글씨가 더 커 보이지 않던가? (…중략…)물이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표면장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수소결합으로 물은 둥글게 뭉친다. 뭉쳐진 물이 볼록렌즈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가 최근 들어 재조명받고 있다는 점을 실제 사례로 잘 풀어냈다. 공부하다가 잠들면
책
에 흘린 침에 비친 글자가 커보이는 현상 → 이슬방울에 비치는 형상의 확대 현상 → 표면 장력과 일렉트로웨팅 현상에 대한 연구 →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원리 → 생활 속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최신 활용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있어요. 기존의 이론을 근거로 새로운 이론을 만들거나 증명하지요. 고등과학원에서는
책
과 종이, 그리고 연필만 있으면 된답니다.우성 : 연구소 안에서 본 커다란 칠판이 신기했어요. 복도에도 칠판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김재완 교수 : 이론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어디서든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