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d라이브러리
"
좌우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좋은 표적이 되어왔다. 하지만 라인박사는 ESP가 결국 인간의 심리적인 조건에 크게
좌우
되기 때문에 지루하게 반복되는 실험이 피실험자의 다른 심리적 조건과 함께 초감각지각을 발휘시키는 심리적 조건을 억압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는 동기부여, 약물투여 등으로 심리적 조건을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것이 아쉽다고 생각한 그는 컴퓨터의 발전은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의 성능에
좌우
된다고 단언했다.그러나 1,2년 사이에 그러한 판단에는 분명한 오류가 있다는 것이 지적됐다. 기존 컴퓨터는 그대로 둔 채 단지 더 새롭고 유망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것만으로는 '인간 지능'을 모방하기는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쉽다.최근에는 설계 보조도구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설계 속도 및 정확성이
좌우
된다. 컴퓨터를 설계하는데도 CAD(컴퓨터이용설계)의 활용이 점점 중시되고 있다. 즉 컴퓨터 설계개념에서부터 구현 직전단계까지 자동화된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다.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바꾸어야 한다.발명은 순간적으로 스쳐가는 아이디어를 잡느냐 놓치느냐가 성공을
좌우
하기도 한다.18세의 루드는 작은 병공장 공원이었다. 1923년 어느 봄날, 루드는 여느 때처럼 유리병을 만들고 있었다. 그 무렵 미국 코카콜라회사에서는 유리병이 물에 젖어도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 말라붙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기술력이 제조업과 경제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
한다는 인식을 비로소 절실하게 체득하기 시작했다.우리의 기술력이 형편없이 초라하다는 객관적 사실과 이에대한 사회전반의 각성이 6공의 과학기술정책이 자리잡은 무대의 배경을 이룬다. 모방에 의한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청년들이 여기저기서 배낭을 벗어두고 쉬는 모습이 눈에 띈다. 공원 안으로 들어서면
좌우
로 크고 작은 호수들이 나타나고, 그 주위를 단층과 습곡으로 이뤄진 지층들의 신비로운 구조가 눈을 사로잡는다.작은 호수가에서는 과나코(guanaco)라 불리는 낙타과(科)의 동물들이 무리를 지어 놀고 있다.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동남아시아인은 자바원인(原人)으로부터 진화했다는 것.양 설의 역학관계를 결정적으로
좌우
한 것은 의외로 인류학 이외의 분야에서다. 1987년 미국의 레베카 캔은 각 인종 1백47명의 태반을 모아 여기서 추출된 미토콘드리아의 DNA변종으로부터 계통수를 작성했다. 그 결과 모든 인류는 20만년 전에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마시러 온 동물에게 기습적으로 일격을 가한다. 일단 덥석 문 다음 온 몸의 힘을 다해
좌우
로 내치면 웬만한 짐승의 몸은 갈기갈기 찢어지고 만다. 이때 업치락뒤치락 하는 모습이 트위스트와 비슷하다고 해서 '악어의 트위스트'라는 말이 생겼다.짐승을 잡아먹는 악어는 다 자란 어른악어다. 어린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갈라져 있다.다른 동물은 보통 내장이 한쌍씩 인데 반해 좁은 체강(體腔)을 가진 뱀은
좌우
가 아닌 전후로 떨어져 있는 내장형태를 보여준다. 대다수의 뱀은 왼쪽 폐가 퇴화돼 거의 없어졌다. 뱀은 중생대 백악기 경에 도마뱀과 같은 조상으로부터 분화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현재는 세계의 온대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청범위는 16~2만Hz이고 개는 3만Hz, 박쥐는 10만Hz까지 들을 수 있다. 소리의 방향은
좌우
의 귀에 도달하는 소리의 매우 짧은 시간적 차이와 소리의 크기에 의해 판단된다. (2) ①두종의 생물이 이익을 교환하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관계를 공생이라 한다. 여기에는 서로 이익을 교환하는 상리공생과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