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리"(으)로 총 4,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나비“박사님, 여기에 희한한 나비가 있어요!”썰렁홈즈가 다시 몬만지네 박사에게 소리를 질렀다. 몬 박사가 달려가 보니 나비 한 마리가 물가에서 쉬고 있었다.“이런…, 이 나비는 원래 화려한 색깔을 가진 나비인데…. 썰렁홈즈, 자네가 나비 색깔을 칠해 주지 않겠나?”언제나 함께 사는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59, 기초과학연구원 단장)는 업적을 소개해달라는 말에 쓴소리부터 했다. 유 교수는 “독창적인 연구를 하려면 기다려줘야 한다”며 “논문 수, 인용지수 등으로 과학자를 평가하는 현 제도가 새롭고 어려운 연구를 주저하게 한다”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유 교수가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정해진다는데, 그럼 내가 딸인 건 아빠 탓이잖아?” 그 이후로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를 하지 않아 모두가 행복해졌다는 이야기.세 번째로 작은 염색체 사람 염색체는 23쌍(46개)이다. 1번부터 22번까지 22개의 상염색체가 한 쌍을 이루고 있고, 마지막 23번째 쌍은 두 개의 성염색체로 구성돼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못하던 자이푸르 시는 영국 보존연구소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앱으로 유기견 사진을 찍고 소리를 녹음했다. 어느 지역이 유기견 밀도가 가장 높은지, 이유가 뭔지 파악한 시 당국은 예방접종, 중성화, 동물보호소 이송 등 지역에 맞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었다.대규모 생태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 때문에 인간은 다른 사람의 눈 에서 흰자위가 많아지면 자신도 모르게 위험을 느낀다. 소리를 내지 않고도 흰자위만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교환하는 셈이다.하지만 흰자위를 얻은 대가로 치러야 할 불편도 있다. 인간은 흰자위 때문 에 자신의 정보가 쉽게 노출된다. 예를 들어, 상대를 은밀히 ...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게 도대체 어떤 소리니?주파수가 약 2만Hz(헤르츠)보다 커서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소리를 초음파라고 해요. 우리는 사람과 달리 약 17만Hz의 초음파를 내거나 들을 수 있지요. 초음파를 내면 주변으로 퍼지다가 어디엔가 부딪혀 다시 돌아오는 것을 느껴 먹잇감을 찾거나 장애물을 피하지요.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아하! 모멘트’예요. 시행착오 끝에 퍼즐이 풀리는 순간 자연스럽게 입 밖으로 나오는 소리죠. 퍼즐에 깊게 몰두한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순간이라고 생각해요.”어렸을 때부터 수많은 퍼즐을 섭렵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낀 안진후 학생은 퍼즐을 하나하나 수집하다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사건의 결정적인 용의자로 의심되고 있는 이장이 사라지자, 왕 반장 일행은 이장을 찾기 위해 전력을 다해 수색에 몰두했다. 그러던 중, 왕 ... 또 보낼지 기다려 보자고.”그런데 바로 그때. 박훈의 컴퓨터에서 메일이 도착한 알람 소리가 들렸다.“왕 반장님! 이…, 이장이 메일을 보냈어요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적건 많건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텔로미어의 영향을 받는다는 소리지. 생물에 따라 수명과 세포분열 횟수가 다를 뿐이지, 세포 자체는 비슷한 노화 과정을 밟는단다. 예를 들어 창밖의 늑대처럼 포유류는 나이를 먹으면 털색이 변하거나 빠지는 경우가 많아. 사람처럼 살갗이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성공한다. 뒤집어 말하면 이제까지 과학자들이 밝혀낸 종이 전체의 0.1%도 안 된다는 소리다. 신종헌터들은 지구상에 박테리아가 100만 종에서 1000만 종 이상까지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새로운 문'을 발견하는 일이 그래서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