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수호신을 위해 적분을 만든 바빌론인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트기 전 지평선에서 목성이 처음 나타난 날짜와 그로부터 60일, 120일 뒤 목성의 속도가 기록돼 있었다. 이를 통해 목성이 앞뒤로 움직이며 태양 주변을 돌았고, 속도는 점점 느려지고 있었음이 확인됐다.목성이 움직인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당시 바빌론 사람들은 X축이 시간, Y축이 속도를 나타내는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름을 딴 로웰천문대에서 행성 X가 있을 만한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방대한 기록을 남기고 1916년 사망한 뒤에도 행성 X 탐사 프로젝트는 이어졌다. 14년 뒤 24세의 클라이드 톰보가 로웰의 자료를 바탕으로 명왕성을 발견했다.얼핏 보기에 명왕성은 해왕성과 같은 방법으로 찾은 듯하다. 그런데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외부 충격에 의해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 진단 기록이 확인됐다. 이 진료 기록을 볼 때 용의자에게서 보이는 비대칭 보행과 우측 팔자 보행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행과 증상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으나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략) 용의자의 보폭은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만든 리드를 마무리투수에게 성공적으로 넘겨줬음을 뜻하는 ‘홀드’라는 야구 기록이 있다. 투구수가 적어 오랫동안 괄시됐던 홀드는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안상준 UNIST 기계및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원자력이 에너지계의 ‘홀드왕’이 되길 바란다. “먼 미래에 대체에너지가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964년에는, 중국이 최초로 핵 실험에 성공하며 미국을 충격에 빠뜨렸다. CIA는 당시에 이런 기록을 남겼다. “서방국가를 제외한 그 어떤 곳에서도 기체원심분리법으로 무기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미 핵무기를 개발한 소련에도 대규모로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원심분리 시설은 존재하지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배운다. 사건현장에서 다이버 한 명은 계속 촬영만 한다. 감식과정 전체를 기록해야 법정에서 증거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이다. 변사체를 발견하면 손을 대지 않고 시체낭에 담아 공기주머니로 들어올린다. 물에서 나오자마자 시체를 검시하고, 증거물에서 지문과 유전자를 채취한다. 이런 일련의 PSD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또 “곤충의 분류와 생태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사건현장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며 “기록이 쌓여야 미국처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단서 2 피를 타고 흐르는 플랑크톤수중시체가 익사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일은 수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육지에서 살해한 뒤 시체를 은폐하기 위해 물속에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개 다리의 무릎까지 쌓인 눈더미에서 사흘을 서 있다가, 나흘 전에 조사관과 나눈 통신 기록을 복기했다.‘계약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 뭔지 기억하고 있지요?’저장된 자료는 퇴색되지 않기 때문에 나는 어제 일처럼 또렷하게 떠올릴 수 있었다.‘예.’‘복제 육체는 잘 보존되고 있습니까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비교연구로, 2011년 한국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흔적화석이란 발자국처럼 생태와 습성이 기록된 화석을 말한다. 임 연구관은 “공룡 발자국이 많은 우리나라 남해안의 공룡화석산지를 2009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 신청했다가, 국제 비교연구 부족으로 신청을 철회했다”며 “유럽과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아 보기로 했다. 3개월 동안 약을 복용하며 나타나는 효과를 기록하는 한편, ‘탈모 명의’로 이름난 심우영 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교수에게 시중에 알려진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의견을 구했다.나이는 상관없지만, 복용 시기는 중요그렇다. 결국 아직까지는 약을 먹는 것밖에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