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경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뇌가 실제 세계의 위험과 머릿속 상상의 위험을
구분
하지 못하는 셈이다. 그런데 현대인의 머릿속은 늘 이런저런 걱정거리로 편안할 날이 없다. 그 결과 셀리에 교수가 실험에서 보여줬듯이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우리 몸 곳곳에서 문제가 생긴다.한스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지.이제 어떤 종류의 공룡인지 알아볼 차례군. 공룡의 종류를
구분
할 때는 엉덩이뼈의 모양을 보면 돼. 엉덩이 뼈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치골의 위치를 잘 봐. 이건 치골이 뒤에 있는 뼈와 함께 나란히 앞뒤로 뻗어 있어. 바로 조반류의 공룡이란 거지. 즉 새의 엉덩이뼈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타났다. 이는 뇌가 듣지 않고도 동물의 울음소리와 음악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를
구분
하고 있다는 뜻이다.다마지오 교수는 “청각피질은 오직 소리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로 개인적인 경험이나 기억에도 반응한다는 증거를 찾았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거의 없는 반면, 로봇새가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심해 사물을
구분
하기 어려웠다.이는 하강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과 상승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 간에 발생하는 차이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고민하던 한 교수는 한 논문에서 고속카메라로 찍은 앵무새 영상을 접했다.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종을 확인하고 암수를
구분
하는 DNA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다. 하지만 산양 A와 산양 B를
구분
하거나 산양 A와 산양 B가 가족관계인지를 찾는 검사에는 특별한 표식자가 필요하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른 모양을 갖는 특별한 DNA 말이다. 유전학에서는 이런 표식자를 마커(maker)라고 부른다. 서울대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는 “흡연이 폐암을 유발할 확률이 높다는 게 분명하지만 흡연자를 비흡연자와
구분
해 보험료를 더 받지는 않는다”며 “개인게놈은 흡연보다 미묘한 방식으로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공개한다고 해서 보험 등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건 과장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떨어지면 상대 것을 빼앗아 사용하다 보니 유골과 함께 출토되는 유품만 가지고는
구분
할 수 없어요.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보고 분석해야 비로소 아군과 적군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실제로 국군이 사용하던 탄약을 공산군이 사용하거나, 공산군에게서 노획한 군화를 국군이 신고 다닌 경우는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사실을 모른다면 월드컵을 제대로 즐길 수 없다.분석은 팀 단위와 개인 단위로
구분
할 수 있다. 팀 단위로는 공 점유율, 공침투 방향, 슈팅 방향, 공격이 시작되는 위치, 코너킥과 프리킥 등의 세트 플레이 전술 등을 기록한다. 개인 단위로는 공을 가지고 있던 횟수와 공을 가지고 있던 시간, 달리는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넓이를 구할 때 여러 개의 작은 도형으로 나눈 뒤 각각의 넓이를 더해서 구하는 방법을
구분
구적법이라고 합니다. 정육각형과 바깥쪽 원의 넓이에는 좀 차이가 있지만 변의 개수를 늘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각형의 변이 늘어날수록 원과 비슷해지면서 넓이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라는 명제를 기호로 나타내 보고 가정과 결론을
구분
해 보세요.기호 사용이 어렵더라도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수학에서 기호 사용은 증명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직접 증명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입니다.역사, 그리고 실생활 속의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