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험"(으)로 총 4,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또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할 때 창업하고 실패했다. 한국에 와서도 창업한 경험이 있다. 모두 생명정보 관련 기업이었다. 하지만 번번이 실패했으며 현재 테라젠이텍스 게놈사업부도 상황이 그리 여의치는 않다. 과연 박 소장이 보는 창업 실패의 원인은 무엇일까. “제일 큰 이유는 100%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평소 친하게 지내던 선배가 제약학과를 추천해 준 것도 영향이 컸다. 정 원장은 “제 경험때문인지 중, 고교 시절에 진로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해보거나 조언을 들어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요즘에는 TV의 영향력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소변에서 마약을 검출하다 국과수에서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는 “연구자로만 사는 것보다 창업하는 것도 좋다”며 “연구원 생활과 창업을 경험해 봤으니까 다른 연구자가 창업할 때 실수하지 않도록 멘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그는 책을 많이 읽는다. 2001년부터 ‘느낌표 - 책, 책, 책, 책을 읽읍시다!’란 TV프로그램에 소개된 책을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매진했던 중고등학교 시절과 달리 대학교에 오고서부터는 학문에 경계를 두지 않고 여러 경험을 했다”며 “그게 바로 벤처 기업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부를 해볼 여유가 별로 없었다. 그는 “요즘은 그렇지 않으니 지금 세대는 이런 다양한 경험을 찾아서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여기에 덧붙여 그는 영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대주의가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여러 나라 사람과 이야기하고 의견을 나누려면 현실적으로 영어가 가장 필요하다는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활은 즐거우면서도 힘든 시기였다. 하버드 디자인스쿨은 세계 각국에서 파란만장한 경험을 한, 다양한 이력을 가진 사람들이 가득했다. 늘 신기하고 재미난 아이디어와 연구가 넘쳐났다. 더구나 근처의 메사추세츠공대(MIT) 등 영감을 주는 다른 학교도 있었다. 황 교수는 지적 자극을 주는 이 모든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새벽 공기에 성큼 다가온 가을이 느껴지던 10월 4일, 전남 고흥에서 ‘제1회 인간동력항공기경진대회’가 열렸다.대학 8개 팀과 고등학교 2개 팀, 그리고 항우연 ... 것이라는 참가자들은 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다.“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모두 도전해 보세요 ... ...
- 전자책 부록_소문난 名品학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직은 충분한 사회경험을 하지 못한 입시생들은 진로자료집의 설명을 참조하거나, 더러는 성적에 맞춰 지원할 학과를 선택하곤 한다.인생의 항로를 결정할 중요한 시점에서는 정보가 많을수록 좋다. ‘커트라인’ 말고 이미 대학생인 선배와 교수들 사이에서 ‘좋은 학과’로 소문난 곳을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적했다. “얼마 전 둘째 아이 학교에 학부모 강연을 할 기회가 있었는데 깜짝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어떤 아이가 와서 교수 되면 돈을 얼마나 버냐, 연봉 1억은 되냐는 질문을 했습니다. 만일 그 학생의 관심사가 돈이라면 공부는 해답이 될 수 없습니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소형 비행기를 하늘에 띄워 보곤 했다. 집 옥상에서 로켓을 발사해보다가 폭발사고를 경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학교 공부는 최악을 달렸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그는 반 전체 학생 64명 중 58등을 했다. 스스로 여러 가지 과목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고,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도 스스로 전혀 납득하질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