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06
물을 표준물질로 삼아 기준 값 1로 삼는데 물의 밀도가 1이므로 비중은 소수점 이하 5째
자리
까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와 액체에서는 대체로 밀도와 비중이 같은 수치를 나타낸다. 하지만 과학 분야에서 항상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밀도와 비중의 정의가 차이가 있다는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05
“기존에는 수달의 이런 습성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번식에 실패했다”며 “보금
자리
로 가는 길목에 긴 터널을 만들어 수달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 것이 번식에 성공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뿐 아니라 풍부화 프로그램으로 각 동물이 야생에서 보이는 행동을 이끌어낼 경우,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기술,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모두 14개 분야에서 활약하는 수백 명의 과학 전문가들이 이
자리
에 모였답니다.제임스 메카티(AAAS 회장, 기후변화를 위한 정부간 위원회 의장) 마음의 달인? 다함께 행복한 지구를 꿈꾼다!다양한 생각을 지닌 과학자들을 만나고 다니느라 피곤한 줄 몰랐던 기자. 문득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05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자동차회사에 잠시 근무하다 교통안전공단으로
자리
를 옮겼다. 국토해양부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안전기준을 제정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05
붙어 있던 다발에서 벗어나 서로 떨어진다. 결국 표면적이 넓어져 이온이 붙을 수 있는
자리
가 많아지고 수축과 이완이 잘 된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2월 재료 학계에서 유명한 저널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에 실렸다.김 교수는 “지금까지 인공근육 재료로 개발된 물질들 가운데 DNA/CNT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05
빈다”주꾸미를 주인공으로 한 한승원 작가의 시다. 오랜 세월 변함없이 사랑하고 보금
자리
를 마련하고 알을 돌보고 생을 마감하는 주꾸미들이 미련한 것일까. 주꾸미 동상을 세운다고 떠들어대다가 느닷없이 원유 세례를 안겨 주더니 어느새 까맣게 잊고 주꾸미를 먹어야 봄이 간다고 주꾸미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05
몸속을 떠돌며 암세포를 탐지해 약물을 전달하거나 나노센서가 혈관 속의 한 귀퉁이에
자리
잡고 혈당 수치를 모니터한다. 과학자들이 꿈꾸는 나노세계의 미래다. 하지만 나노로봇이나 나노센서가 작동하도록 꾸준히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없다는 게 문제다.기존 배터리는 나노로봇보다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05
수 있다”고 말했다. 어릴 때 많이 하는 놀이 ‘얼음땡’에서 ‘얼음’을 외친 사람은 그
자리
에서 옴짝달싹 할 수 없는 것처럼, 질환을 유발하는 인자도 RNA 앱타머가 달라붙는 순간 비활성화된다.그렇게 해서 처음으로 개발된 치료용 RNA 앱타머가 바로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한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05
이유다.산불 모형처럼 격자 안에 단위체 유무에 따라서 침투여부가 결정되는 방식을 ‘
자리
침투’(site percolation)라고 한다. 또 다른 침투 방식으로는 ‘결합 침투’(bond percolation)가 있다. 여기서는 모든 격자 안에 단위체가 있고 대신 격자 사이에 연결, 즉 결합 여부가 확률적으로 정해졌을 때 계에 ... ...
새끼 원시고래의 고향은 육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연구했어요. 이 화석은 출산을 앞둔 암컷 고래의 것으로, 머리가 먼저 나오도록 태아가
자리
를 잡고 있었지요. 이것은 꼬리부터 나오는 지금의 고래와는 다른 육지동물만의 특성이에요. 게다가 이 화석에는 육지에서 몸을 지탱하는 데 유용해 보이는 지느러미를 닮은 네 다리도 찾을 수 있었어요.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