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3,001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경북 울릉군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항암 물질연구단 연구팀이 울릉도 토종 희귀 미생물(방선균)로부터 새로운 항말라리아 물질을 발 ...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뽑아낸 것"이라며 "국내 중요한 자원으로서 울릉도 토양의 활용
가능
성을 시사하는 성과"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 ...
나노소자 내부 구조 보는 고감도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이은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위)과 장성훈 연구원팀이 광유도력 현미경으로 시료의 내부 구조를 측정하고 있다. - 사진 제공 한국 표준과학연구원 나노미터 크기의 소자 내부 깊은 곳까지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 현미경 기술이 개발됐다. 반도체의 불량 요인으로 꼽히는 내부 공극 등의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
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신호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 연구팀은 다마 팀이 관측한 신호가 윔프의 신호가 아닐
가능
성이 매우 높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일자에 발표됐다. 이현수 IBS 지하실험 연구단 부연구단장과 하창현 연구위원이 연구 내용을 토론하고 있다. -사진 제공 IBS 이번 연구는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
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접근한 데에는 계획적인 의도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로 일단
가능
성은 줄어든 상태다. 하프 연구원은 “비록 오무아무아의 인공 신호 검출에는 실패했지만, 이번에 습득한 기술로 미래의 성간 천체나 태양계 내 소천체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며 “특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유기분자가 검댕 씨앗을 형성하는 과정(nucleation)은 미스터리였다. ‘재생
가능
및 지속
가능
에너지 리뷰’ 제공 독일 뮌헨공대의 화학자 라인하르트 니스너 교수는 2014년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한 리뷰논문에서 디젤유가 불완전 연소를 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엔진 내부로 기름방울이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천정희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천 교수는 암호학적 다중선형함수를 최초로 완전히 해독해 4세대 암호기술의 상용화
가능
성을 연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4세대 암호기술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그대로 통계분석하는 기술로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암호학적 다중선형함수는 ... ...
“이제 우리도 정지궤도위성 기술을 가졌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지역별 예상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국지성 집중호우도 최소 2시간 전 예측
가능
하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 - 기아나=사진공동취재단 최 단장은 “발사된 위성이 제 기능을 하는지 확실히 알려면 한 달쯤 지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기 천리안 2A호는 적도 상공 동경 ... ...
CMOS보다 효율 30배 높은 반도체 소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당초 4.5V에서 1V로까지 낮추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론적으론 100㎷까지 줄이는 게
가능
하며 이는 CMOS에서 쓰는 전압의 10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압이 낮으면 전력 효율이 높아져 효율도 최대 30배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사시칸스 마니파트루니 인텔 연구원은 “CMOS의 시대를 넘기 위해 ... ...
美 탐사선오시리스-렉스 소행성 베누 신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75만㎞까지 접근할 것으로 전망된다. 22세기말에는 2700분의 1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가능
성이 있다. 지구와 충돌할 때 영향을 예측하려면 베누의 밀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NASA는 베누 탐사를 통해 태양계가 형성된 직후의 상황을 자세하게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름이 ... ...
세계 최고 수준 100Gbps 연구용 빅데이터 전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과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을 통해 3개 대륙에 걸쳐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
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 모델인 ‘사이언스 DMZ’를 세계 최고 성능인 100Gbps급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사이언스 DMZ는 일반 트래픽과 대용량 트래픽을 분리해 처리하는 네트워크다. 문정훈 KISTI ... ...
이전
1567
1568
1569
1570
1571
1572
1573
1574
1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