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8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천연 항균물질이 세균 죽이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5.02
만들어졌다. 뾰족한 튜브는 바늘이 튀어나오듯 외부 덮개에서 튀어나올 수 있다. 덮개
아래
에는 6개의 다리가 달렸다. 다리는 피오신이 다른 세균을 만났을 때 세균 표면의 특정 구조에 결합해 피오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리 6개 중 3개 이상이 세균에 달라붙으면 피오신이 공격을 ... ...
[주말N수학] 미스터 트롯 대역전극 수학은 알고 있었다
수학동아
l
2020.05.02
예측했던 값인 1608.89보다는 0.51점 작게 나왔는데, 이는 계산 과정에서 점수를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서 나타난 차이입니다. 최 교수는 “점수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순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전문가 평가나 응원투표가 아닌 실시간 국민투표였다”고 말했습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비의 혈액순환론
2020.04.30
살펴보았다. 즉, 팔뚝 위쪽에서 판막을 거쳐 손목방향으로 정맥을 훑어 내리면 판막
아래
쪽으로는 피가 흐르지 않는다. 반대로 손목 쪽에서 판막을 거쳐 팔뚝 위로 피를 훑어가면 피가 잘 흐른다. 이는 신체 말단의 피가 판막을 통해 심장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이다. 하비는 다른 동물의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기간 31% 단축 효과 있다" NIH 임상결과 초안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높지 않았다(왼쪽, 빨간색이 렘데시비르). 상기도(오른쪽 위) 및 하기도(오른쪽
아래
)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량을 확인한 결과 바이러스 감소 효과도 크지 않았다. 연구팀은 임상적으로 일부 좋은 결과도 있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하기 어려웠다고 결론 내렸다. 랜싯 논문 캡쳐 특히 ... ...
[IBS 코로나19 리포트] IBS가 밝혀낸 코로나19 유전자 지도의 의미
2020.04.30
뿐 아니라 다른 바이러스 단백질들도 잠재적으로 치료제의 타깃이 될 수 있다.
아래
표에 바이러스 단백질의 기능을 정리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기 때문에, 기존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에 기반하여 추정한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 ...
'그들' 한 마디에 검증 안 된 치료제 구매 검색량 52배 치솟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클로로퀸 및 하이드록시클로로퀸 구매 검색량을 추적한 연구 결과다. 위가 클로로퀸이고
아래
가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다. 3월 16일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언급과, 3월 1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급 이후 구매 검색량이 폭증한 것을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런 경향이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 ... ...
[일문일답]"아이들 눈 높이로 대답합니다" 중대본 코로나19 어린이 특집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참여해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래
는 브리핑에서 진행된 어린이들과 전문가들 간 일문일답이다. Q. 코로나19는 얼마나 작은가요? (최은화 서울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 이하 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굉장히 ... ...
"코로나19 나은 친구랑 가까이 지내도 되나요?" 방대본 '어린이 특집'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예방수칙을 쉽게 설명해 주고 자주 이야기를 나눠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아래
는 브리핑에서 진행된 어린이들과 전문가들 간 일문일답이다. Q. 코로나19는 얼마나 작은가요? (최은화 서울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 이하 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굉장히 ... ...
UST 박사과정생이 만든 지반지지 공법 韓美日서 특허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중간중간이 볼록 튀어나오는 ‘전단키’가 만들어진다. 전단키가 지반에 걸려 위
아래
로 움직이기 어려워져 지반에 하중을 더 많이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 마이크로파일보다 지지력과 안정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말뚝 길이가 짧아져도 같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 경제성이 높아지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당혹스러운 63대 36 논란
2020.04.29
100%가 아니다. 득표율 1%가 감쪽같이 사라져버렸다. 계산기로 얻은 득표율에서 소수점
아래
숫자를 뭉뚝 잘라내서 생긴 일이다. 결코 가볍게 여길 일이 아니다. 잘라버린 1%는 함부로 버릴 수 있는 것이 절대 아니기 때문이다. 모든 가능한 확률의 합은 100%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도 어길 수 없는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