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붙이고 줌인 상태에서 태양 주변의 밝은 코로나 주위를 고정 촬영하면 된다. 이 때 태양의 강한 빛이 렌즈에 직접 들어오지 않게 해야 한다. 렌즈플레어 현상(광학현상)을 일으켜 허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행운이 따른다면 불과 5분 안에 UFO를 포착할 수도 있다. 2년간의 존 브로 촬영법을 통해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대기 중에 수분이 많아져서 북극 주변 대륙에 눈이 많이 내린다. 눈이 많이 쌓이면 태양에너지를 반사시키는 비율이 높아져 우리나라가 포함된 중위도 지역에 한파가 몰아치게 된다. 차가운 공기가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만나 폭설을 일으킨다.폭설로 마비된 도로를 열어라!전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아주 작은 점에 집중해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밝은 빛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미니 태양’의 크기는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밀도가 아주 높은 빛을 모을 수 있으면,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한 번에 많은 ...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4호
- 어렵다.똥과 쓰레기로 만든 친환경도시 예테보리스웨덴 예테보리는 에너지 대부분을 태양열과 지열, 그리고 똥과 쓰레기에서 얻는 대표적인 친환경도시다. 가축 분뇨와 쓰레기에서 메탄가스를 얻어 추운 겨울에 난방을 하거나 자동차를 움직인다. 예테보리에서 석유를 사용하는 날은 1년 중 기온이 ... ...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물구나무 선 자세로 집까지 굴린 답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이런 우리 모습을 보고 태양을 굴리는 신의 모습을 상상하기도 했어요.왜 더러운 똥을 굴리고 있지?더…, 더럽다니요? 똥은 우리한테 맛있는 먹을거리 라고요. 우리는 식물의 잎이나 버섯을 먹고사는데요. ‘똥구슬’만 있으면 모든 ... ...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필름을 붙이거나 태양광발전을 할 수 있는 스마트윈도우로 바꾸고 있어요. 유리창으로 태양광발전을 할 수 있어 많은 소비자가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프로슈머가 되고 있답니다. 프로슈머는 소비자가 생산도 한다는 뜻이에요.로봇과 얘기하고 무인자동차를 타다2020년은 사람 없는 세상이나 다름없어 ... ...
- 일곱 번째 슈퍼지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반지름도 1.8~2.4배나 크답니다. 글리제163c는 글리제163을 도는 데 약 26일이 걸리며,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의 1.4배 정도를 받고 있어요. 만약 이 행성의 대기가 지구의 대기와 비슷하다면 땅의 온도는 약 60℃로 지구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살기에는 조금 더운 환경일 거래요 ... ...
- 땅 안파고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벽돌을 만들어 썼어요. 이런 재료들은 모래와 비교해 봤을 때 밀도가 높아요. 그래서 태양 빛을 받았을 때도 모래보다 천천히 달궈지고 천천히 식는답니다. 적외선 영상은 이런 열 차이를 분석해 사막에 묻혀있는 오래된 건축물들을 찾아낼 수 있는 거예요.과학탐사 ❸ 물 밑에 숨은 보물, 소리로 ... ...
-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궁금해, 큐리오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현재는 보이저 탐사선을 비롯한 각종 탐사선을 통제하고 있지요. 보이저 탐사선은 현재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지구에서 떠나보낸 인공 물체 중에서 가장 멀리 있기도 하답니다.센터 안에 직접 들어가보니, 영화에서 본 듯한 장면이 펼쳐져요. 영상과 자료를 보여 주는 커다란 전광판 앞에 ...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별 수천 개를 볼 수 있어.잠깐! 태양은 작은 별?태양은 지구보다 109배나 크다. 이렇게 큰 태양도 우주에서는 아주 평범한 별이라는 사실. 지금까지 발견한 가장 큰 별은 ‘VY 캐니스 메이저리스’인데, 시속 900㎞로 달리는 비행기로 1100년을 달려야 겨우 한 바퀴를 돌 수 있어. 그런데 사람이 발견하지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