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나오지요.입자의 운동량은 검출기에 자석을 설치하면 구할 수 있어요. 가속기에서 만들어진 입자 일부는 전자와 양성자처럼 전하를 띠어요. 전하를 띠는 입자는 자석이 근처에 있으면 특정한 방향으로 휘는 ‘로렌츠 힘’을 받지요. 예를 들어 앞으로 움직이던 전자의 왼쪽에 N극이, 오른쪽에 S극이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발표했거든요. CIGS 태양전지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Se)으로 이뤄진 화합물인 CIGS를 얇은 막으로 유리 위에 쌓아 만든 차세대 태양전지예요.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예요. 지금까지 태양전지는 태양광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어두운 검은색 계열이었어요. 다른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도체와 부도체 구별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수 있는 키트예요. 연필로 노래를 연주해 볼까요? 우선 노란색 피아노 보드에 그려진 구불구불한 흰 선을 연필로 칠하고, 주황색 피아노 모듈에 건전지를 넣어요. 피아노 모듈은 여러 음이 저장돼 있는 일종의 소리통이에요. 모듈 한 쪽에 금속 여러 개가 튀어나와 있는데, 금속마다 서로 다른 음이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방역 복장을 갖춰 입기도 해요. 하지만 국내 박쥐들은 그 정도로 위험하지 않아 방역복까진 필요 없죠. 다만 맨손으로 만지거나 채집하는 건 위험할 수 있느니 눈으로만 관찰하고 소리 데이터만 수집해 주세요. 그리고 박쥐가 나오는 동굴이나 폐광에 갈 땐 마스크를 꼭 쓰세요. Q 어떻게 하면 박쥐 ... ...
- 디지털 세상, 안심하고 즐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선임연구원), 이남경(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지능화연구실 책임연구원), 진우경(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사이버범죄예방계장 경정), 박일준(CDL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회장), 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선미숙(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연구교수), 네이버, ... ...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걸 체감하시나요?네. 올해 코로나19로 인간의 활동이 줄면서 자연의 소리가 잠시 커진 것 같지만, 우리 일상이 제자리로 돌아온다면 또다시 자연의 소리를 듣지 못할 거예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동물의 개체수가 줄고 있는 건 사실이니까요. Q 소리를 들으면 자연을 보호할 수 있나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셈이에요.그럼 DNA는 어떻게 사람의 몸을 만들어낼까요? 이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진행돼요. 먼저 세포핵 속에 있던 DNA가 자신의 정보를 담은 mRNA를 복제해요. mRNA는 DNA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한 가닥으로 이뤄져 있지요. 이 과정을 ‘전사’라고 불러요. 이어서 mRNA가 세포핵 밖으로 나오면 세포 ... ...
- [과학뉴스] 떫은맛 감지하는 인공 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와 달리 떫은맛은 탄닌*처럼 떫은맛을 내는 분자와 혀 점막 단백질이 결합해 만들어진 응집체가 혀의 점막을 누를 때 느껴져요. 이처럼 떫은맛은 혀에서 감지하는 원리가 달라 새로운 인공 혀 기술이 필요했어요. 연구팀은 떫은맛을 느끼는 원리를 모방하기 위해 미세한 구멍이 많은 고분자 젤을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2016년 4월 28일 아침, 평화롭던 동물원에 갑자기 무전이 울렸어요. 두루미 두일이가 피를 흘리고 있다는 다급한 목소리였지요. 이날 두일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두루 ...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우리 눈에는 구름이 노을의 붉은빛으로 보이게 돼요.그럼 회색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기억을 돌이켜보면, 여름에 만들어지는 엄청나게 큰 뭉게구름이 회색이란 사실이 떠오를 거예요. 이런 구름은 너무 두껍다 보니 햇빛을 흡수하고 차단해 어두워 보이죠. 흐린 날의 구름이 밝은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