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d라이브러리
"
전통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배하는 정신에서 발견하려 든다. 이런 생각으로부터 직장을 신성시(神聖視)하는
전통
이 생겨났다.노동은 단순히 경제적인 행위가 아니고, 일종의 정신적 충족을 구하는 일이라는 것이 통념화된 그들의 노동관이다. 이 사실은 일본의 기업이 단순한 기능집단이 아니고 공동체적인 면이 강하게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5월에는 지역 국악인들이 실제연주를 들려주며 소개하는 '한국의
전통
음악'(5월5일)과 당면한 에너지 문제를 조명해보는 '에너지위기'가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지난 3월의 프로그램이었던 '자연과 야생동물'(연사 김정만)'꼬마 발명왕'(왕연중) 시간에는 많은 청중들이 몰려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991년 새해를 맞은 나는 음식점에서 이곳의
전통
음식인 양고기 바베큐와 포도주 그리고
전통
적인 춤과 음악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에서 모로코의 밤을 즐겼다 ... ...
80년대 통폐합소동 되풀이 말아야 정부출연연구소, 존폐위기에 섰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폐쇄하겠다는 위협은 이 두가지 모두에 어긋나는 것이 아닐는지.이러한 일들은 우리의
전통
적 반과학주의, 기술경시 풍조와 무관하지 않으며 업무상 예산당국과 가까운 일부 인문계 연구소의 급여수준이 이공계보다 두배 가까이 높은 데서도 잘 나타난다.출연연구소의 효율과 운영상의 책임을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경지의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의 천문학은 근세에 접어들면서 여타의 고유한 지(知)적
전통
의 운명이 그러했듯 긴 잠에 빠지고 말았다. 하지만 바로 지금 이 순간 모두들 잠든 깊은 밤의 적막 속에서도 우리들의 자랑스런 과학의 뿌리를 되살리고자 일산과 관악산 소백산의 천문대를 지키는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러나 이러한 욕구 자체에 대해서는 어떤 효과적인 견제의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전통
적인 윤리관이나 가치이념들도 이러한 새로운 상황 앞에 그 힘을 잃거나 제어능력을 상실했으며 오직 각 개인의 본능과 각 개별 집단들의 집단 이기심에 맡겨버리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한 마디로 이러한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날 것으로 먹는게 보통이다. 신선한 비타민과 철분을 공급해주는 더없이 몸에 좋은
전통
채소의 일종인 것이다.미나리는 독특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시식(時食)으로 오래 전부터 애호되었다. 단오 무렵이 제철이지만한번 베어내고 나면 그 그루에서 다시 새싹이 자라기 때문에 조건만 좋으면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나눠지는 경향도 최근 두드러진다. 물리학의 경우 입자물리 고체물리 같은
전통
적인 이론물리학이 있는가 하면 레이저 반도체 초전도 등 물리이론을 산업에 응용하려는 응용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이에 따라 기초과학을 전공한 물리학자들도 산업현장에서 곧바로 쓰이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행하다가 부수적으로 얻은 것이 많다.한국과학의 큰 산인 KAIST는 벌써 20년의
전통
을 쌓아 놓았다. 금년까지 석사 6천3백30명, 박사 1천48명을 배출했다.졸업생들이 현재 일하고 있는 분야는 박사의 경우 교육기관 31.8%, 연구기관 36.6%, 산업체 종사 27.9%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들 중에는 직접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서유럽제국(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의 각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전통
적으로 대형승용차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은 소형차 부문에서의 호조를 바탕으로 중대형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시켜나가고 있다.서유럽제국은 주로 고품질 고가격 중심으로 하이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