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의 결정화를 막아라!몸을 차갑게 얼렸을 때 가장 큰 문제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결정화’예요. 우리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들이 모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나노 로봇이 뇌를 깨운다?뇌는 냉동 인간을 실현하는 데 가장 까다로운 조직으로 뽑혀요. 뇌에는 그 사람의 의식과 기억이 들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장기와는 달리 새로운 뇌나 ...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얼었던 싹, 꽃을 피우다!식물 세포를 냉동했다가 다시 녹여서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복원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돼 있어요. 지난 2014년, 농촌진흥청은 액체질소로 냉동 보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에코리움에서 개미들이 협력해 살아가는 걸 보고 생각이 달라졌다”며 “우리 인간도 개미처럼 협력해서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어요. 숲과 초지, 습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후대에 사는 동물들의 낮과 밤 행동을 모두 탐사할 수 있었던 지사탐 여름캠프! 무더위 속에서도 지사탐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유전자 변형 곤충이 자연 상태에 나가면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인간이 원하는 대로 모기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면 돌연변이가 일어나 더 치명적인 형태로 진화할 수도 있고, 다른 종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위험도 있지요. 그래서 아직 유전자 가위 기술이 적용된 유전자 변형 ...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박을 잘라 만든 제비 인공둥지를 보여 주었어요. 둥지를 지을 진흙이 부족한 환경에서 인간이 둥지 형태를 만들어 처마 밑에 달아 주면 제비가 새끼를 기를 수 있다는 거예요. 실제로 정다미 연구원의 인공둥지에서는 매년 제비 가족이 찾아와 살고 있답니다.라이노비틀즈 팀의 곽수진 대원(서울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수 있지요.모기가 빤 피를 분석해 전염병을 막아라!신종 질병의 75% 정도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해졌어요. 그런데 이 과정을 연구하기란 어려워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과학자들은 모기로부터 해결점을 찾았어요.모기는 여러 동물의 피를 빨아들여요. 이 피엔 피를 빨린 동물의 유전자뿐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날아가요. 이 속도로 날아가면 3개월 만에 태양에 도착한답니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인간이 만든 가장 빠른 물체로 기록될 예정이에요.그리고 나서는 태양을 돌면서 태양과 점점 가까워져요. 이때 속도를 천천히 줄이면서 궤도를 계속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성을 이용해요. 금성의 중력을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망한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은 90%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림프절 페스트는 인간 감염의 80~90%를 차지하며, 벼룩에게 물려서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물린 부위의 림프절이 부으며 패혈증을 일으켜 2~3일 후 사망한다. 치료하지 않을 시 치사율은 75% 정도다. 항생제를 이용해 치료하며, 항생제를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 름다움을 황금비로 따지는 데에는 함정이 있다”고 비판했다(doi:10.1007/s00266-007-9080-z). 인간의 뇌가 얼굴의 눈코입 등 부위별 생김새에 따라 호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는있다. 톰 하틀리 영국 요크대 심리학과 교수는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때 첫인상은 얼굴의 특정 부위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