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박사는 본인이 개발한 뷰티 인공지능 프로그램(bapa.co.kr)을 이용해 이들 특징을 합성해 ‘우리나라 대표 여성 미인상’을 만들었다. 이 박사는 “이미 2006년에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었던 미인상과 비교해 눈썹과 눈 사이 거리가 멀어졌고, 눈은 더 크고 동그란 형태이며, 입은 더 얇아졌다”고 밝혔다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효모로 발효시킨다. 대부분의 로컬 맥주가 보리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번성하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맥아 외에 백미, 옥수수 등을 부가적으로 사용해도 맥아 함량이 10% 이상이면 맥주로 표기한다. 그러나 맥주의 본고장인 독일에서는 맥아 외에 다른 곡물이 사용됐을 경우 맥주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포 밀도가 높다. 아무래도 사람의 손길이 덜 닿아서다.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됐지만 우리나라에서 기록되지 않았던 종이 섬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특히 국립공원은 채집 허가를 받기가 굉장히 까다로운데, 작은 섬에서는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흔히 잘 알려지지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에 재미를 느낀 뒤로 누구보다 열심히 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거예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은 운동량이 적고, 대학교에 가서 수학에 재미를 느끼고 잘하게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요. 수학자에 대한 고정관념 중 ‘이것만은 아니다’ 하는게 있다면요?‘수학만 알 것 같다’는 ...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15개 푸드트럭을 추가로 허가할 때 음식에 따른 푸드트럭의 최적 위치를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역별 행인 수와 식당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각 도시의 지방자치단체가 어떤 거리를 푸드트럭 존으로 정할지, 또 푸드트럭 사업자는 여러 푸드트럭 존 중 어디에서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사국(USGS)과 국립공원(NPS)의 활동을 시작으로, 매년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돼, 지난 5월 27일 전북 고창 선운산생태숲에서 8번째 바이오블리츠코리아가 열렸답니다.바이오블리츠는 생물다양성 보존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현재 지구상에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거치며 전세계의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3세기, 고려시대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시작이었지요.사람들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점점 달고 큰 수박을 선택해 길러왔고, 그 결과 우리는 지금의 커다랗고 달달한 수박을 먹을 수 있게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어 세계보건기구(WHO)는 출생 뒤 가능하면 빨리 BCG 백신을 접종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접종 금기사항이 없는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생후 4주 이내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접종 금기사항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자 및 선천 면역결핍, 백혈병, 림프종, 기타 악성종양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위치나 규모가 계속 달라진다”며 “포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3. 지열발전소 공사가 지진 방아쇠 당겼나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불과 2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지열발전소 건설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나라 국책 연구개발(R&D) 성공률은 98%다. 100건 중 98건의 연구가 성과를 냈다는 의미다. ‘너무 높은 성공률’도 문제다. 실적 압박에 결과가 잘 나올 법한 연구만 선택하거나, 충분히 숙성되기 전에 일단 논문부터 발표하고 보자는 경우들이 이 성공률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