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Y염색체에서 공통적으로 유전자 하나가 지워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doi: 10.1016/0092-8674(87)90595-2 이는 바꿔 말하면 남성을 결정짓는 데 해당 유전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유전자에 ‘SRY(Sex determining Region of the Y chromosome)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9]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이유와 방법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어렵다는 역기능이 있다. 두 사례를 통해 문화 절대주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견해임을 알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을 위해서는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이 필요하다. [문화 상대주의] 문화 상대주의란 각 사회의 문화가 형성된 배경 또는 사회 구성원이 공유하는 의미를 바탕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 ...
- [실전! 반려동물] 왜 거북은 자꾸 돌 밑에 숨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엄마 도마뱀의 뱃속에서 알이 만들어지던 도중에 알 속의 배아가 죽을 수도 있고, 간신히 알을 낳더라도 깨질 수 있지요. 채식 도마뱀과 잡식 도마뱀은 하루 먹이양의 0.56~1%, 육식 도마뱀은 0.40~0.80%가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해요. 칼슘이 많은 식품으로는 치커리와 청경채, 쥐와 달팽이가 있지요 ... ...
-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처음 음식 냄새를 맡았을 때 최적경로를 생각해 낸다. 마치 내비게이션이 우리에게 길을 알려주는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벌레는 움직이는 동안에도 최적의 경로를 미분으로 쉼없이 계산한다. 냄새가 전보다 더 강해졌는지, 혹은 약해졌는지 그 변화를 추적해 먹이를 찾는 경로를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도움으로 많이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누구보다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김 교수는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을 수학 모형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하지만 계산이 많아지면 한계가 있으므로 이때 컴퓨터를 이용해 풀면 쉽고 편리하다”라고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부분을 갖춰야 하나요?정석희) 호기심입니다. 정말 특별한 천재가 아니라면 결국 누가 더 알고 싶어 하고 누가 더 새로운 기술에 흥미를 보이느냐가 차이를 만듭니다.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하니까 빨리 배우게 되고 변화에도 적응이 빠를 수 있는 거죠. 그런 호기심이 열정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 ...
- [오일러 프로젝트] 가장 긴 콜라츠 수열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아~! 이렇게 쉬워 보이는데 못 푼다는 말인가. 여러 후배 수학자를 좌절하게 한 ‘콜라츠 추측’. 나 오일러도 모르겠다~! 300년을 넘게 산 경험으로 봤을 때, 힘을 모으면 ... 정답을 맞힌 문제에 한해서 사람들이 달아놓은 댓글에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볼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두세요 ...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읽고 영화를 보면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산줄기들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있을 겁니다. 참고로 영화에는 김정호가 전국 방방곡곡을 두 발로 돌아다니며 지도를 제작한 것으로 나오는데, 사실은 그러지 않았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역사학자들은 김정호가 국가와 민간에서 기존에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바닷속 깊은 곳에서 시료를 건져올 수 있는 해저퇴적물시료채취기, 날씨 변화를 즉시 알 수 있는 자동 기상정보 시스템도 꼭 필요한 장비다. 연구용 장비를 바닷속에 던져 넣거나 이를 다시 끌어 올릴 때 쓰는 윈치는 연구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크고 작은 시스템에 8개나 설치돼 있다. 이를 ... ...
- [Origin]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만드는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중이며, IBM은 누구나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용가능한 2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해 양자 알고리즘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크리스토퍼 먼로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와 김정상 듀크대 교수가 공동 설립한 스타트업(IonQ)에서는 현재 이온 트랩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온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