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그 중 어떤 부분은 인텔 제온 CPU 48개를 사용해 55일간 계산했습니다. 비로소 성공한 토마센 교수그런데 2017년 8월 토마센 교수가 인터넷에 베크너의 문제를 푼 논문을 공개합니다. 이번엔 학술지 ‘조합적 이론 시리즈 B’의 게재 승인까지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수학자의 검증 과정을 ... ...
- [DJ CHO의 롤링수톤] U2의 ‘Sunday, Bloody Sunday’ 집게발 무대의 정체수학동아 l2017년 10호
- U2에게 딱 맞는 맞춤형 무대를 완성했지요. 집게발 무대장치가 설치된 공연은 U2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을 뿐 아니라 공연 형식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는 평가를 받게 됩니다. 이처럼 혁신적인 기술이 이용된 공연 무대에서 수학이 빠진 적은 없습니다. U2의 로드 오디오 디렉터 조 오헨리도 한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단백질만을 뽑아내서 인공 광합성 장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서 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시금치는 우선 구하기 쉬워요. 또한 다른 식물에 비해 광합성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분리해내기가 쉽다는 장점도 있지요.◀실제 장치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연구팀은 시금치에서 추출한 광합성 ... ...
- [과학뉴스] ‘유전자 가위’로 유전병 유전자 교정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통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을 50%에서 27.6%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킨 뒤 유전자 가위를 주입해, 같은 배아에서도 유전자가 교정되지 않은 세포가 섞여있는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정자와 난자에 유전자 가위를 동시에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설계해 10일 이상 작동할 수 있다. 달의 혹독한 밤에서 살아남는 보너스 미션을 충분히 성공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팀의 목표는 인도의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는 것이다. 5. 일본 하쿠토(ハクト) 하쿠토는 흰 토끼라는 뜻을 가진 일본어다. 달에 흰 토끼가 산다는 설화에서 따온 이름이다. 이 팀은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학회 발표는 443건 등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경력단절 뒤에도 네트워크 끈 놓지 말아야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경력단절 여성 스스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 그 중 하나가 경력이 단절되더라도 지도교수, 또는 예전에 함께 일했던 직장 동료나 선후배 등과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일이다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달리는 무게 28t(톤) 자기부상열차를 제작해 150m 길이의 시험 구간에서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 팀장은 “하이퍼루프 기술에서는 한국이 가장 앞섰다고 자부한다”며 “앞으로 실제 실험에서 누가 먼저 시속 1200km를 돌파할지를 놓고 주도권 싸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울~부산 400km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잘 잠입해서 재밌게 잘 놀았으려나. 내가 너희 선생님에게 전화 받은 건 없으니, 아마 성공적으로 들어간 거겠지? 너 같은 애도 별로 없었을 거야. 보통은 초음파로 검사하면서 아들인지 딸인지 다 알게 되기 마련인데, 너는 워낙 초음파에 잘 안 잡혀서 딸인지 아들인지를 마지막까지 알기가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산소 공급기 등을 설치한다. 다시 연구를 할 수 있게 돼 행복하지만, 이게 끝이라거나 성공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고민이 크다. 10년 넘게 어류 생리에 대한 기초연구를 했는데, 지금은 어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양식 기술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20년은 더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빛의 양이 달라져도 측정 지표 값을 기준으로 촬영 데이터를 보정하면 됐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정확한 측정값을 100이라고 했을 때 이전에는 오차율이 15% 안팎이었다면 지금은 5% 안팎으로 확 줄었다. 그 결과 건선이나 지루성 피부염의 조기 진단 정확도는 80%가 넘는다. 김 연구원은 “문제를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