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불임과 피임의 미싱링크 남성 생식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식은 난자, 즉 여성의 일로만 여겨져 왔다. 그 결과, 여성의 생식 과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한 데 비해 남성의 생식 과학은 상대적으로 수수께끼가 더 많다. 결국 오늘날 여성은 그 짐을 혼자 짊어지고 있고, 남성은 왜 아픈지 원인도 모르는 질환에 고통 받고 있다.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다. 남성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에노비드10’이 개발된 이후 여성용 경구 피임약은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꾸준히 발전해 왔지만, 아직까지 시판되고 있는 남성용 피임약은 단 한 개도 없다. 피임약에서만큼은 6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여성이 그 짐을 지고 있었던 셈이다.사회적, 정서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가장 현실적이고 ... ...
- Part 3. 산업수학 지도, 해결 못하는 문제가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Part 3. 산업수학 지도, 해결 못하는 문제가 없다!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적분은 스승이었던 아이작 배로의 연구를, 운동 법칙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연구를 발전시켜 완성할 수 있었으니까요. 뛰어난 업적 때문에 주변 사람으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았던 뉴턴은 선조의 업적을 거인에 비유했습니다.뛰어난 업적만큼이나 선조에 대한 존경심도 잃지 않았던 뉴턴. 뉴턴의 ...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전투 능력을 토대로 적군의 능력을 수치로 나타낸다. 병력, 훈련 정도, 무기 체계의 발전 정도 등을 이용해 적의 전투력 지수를 계산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아군의 피해가 크면, 특정 요소를 수정해 다시 시뮬레이션한다. 여기에 쓰이는 모든 요소는 수학을 이용해 계산한다. 거리에 따른 살상도나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통해 “개인 교통수단의 미래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최근 드론이 발전하면서 드론을 토대로 플라잉카를 만들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키티호크뿐만 아니라 중국의 드론 제작사 이항도 작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받고 가장 먼저 연락한 사람도 레이턴이었다.계속되는 도전, 질병 정복을 꿈꾸다의학의 발전에 끝이 있을까.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에서는 LPS수용체에 저항성이 있는 돌연변이, 자가면역 등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악학자 아서 폰 오팅겐과 휴고 리만은 오일러의 생각을 오팅겐-리만 톤네츠로 발전시켰다. 이 톤네츠에 나타난 숫자는 12음계에 해당한다. 도는 0, 도#은 1, 레는 2 등으로 12음계에 0~11을 부여했다. 12개 숫자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돼 쉽게 곡을 만들 수 있다.예를 들어 그림처럼 4개의 숫자로 두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불구하고 복구되지 않는 경우 중에 발생한다).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긴 부분을 일일이 정상 유전자로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나마도 국소적으로 퍼진 암세포에만 가능할 뿐이다.보겔스타인 박사는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수차례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넓게 펴서 앞으로 걸어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크램을 인명 구조용 로봇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한국산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미국에 ‘크램’이 있다면, 우리나라엔 높은 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JumpRoACH)’가 있어요! 서울대학교 조규진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