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4교시 "바다와 사람을 존중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개발하고 도입했어요. Take 3 for the sea!“기자님은 혹시 서핑 끝나고 바다에서 나올 때 쓰레기 3개 주우셨나요?”이승대 대표는 서핑 체험을 끝낸 기자에게 질문을 던지며, 서핑을 마치고 바다에서 3개 이상의 버려진 플라스틱을 들고 나오는 서퍼들의 문화를 소개했어요. 실제로 2017년 7월부터 ... ...
- [기획] 일회용컵 줄이기, 대안은 다회용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일회용컵의 환경 오염 문제를 보증금제로 모두 해결할 수는 없을 거예요.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2020년 영국에서는 상단에 나비 날개 ... 것으로 확인받기도 했어요.스테인리스 등 다른 소재는 생산과 폐기에 환경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PP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 ...
- [공지] 시민과학 풀씨 지사탐 심화 탐사도 놓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거미가 앗, 뜨거!앗뜨거미 팀(한림대학교 정재욱 외 1명) 기후변화지표종은 기후변화 때문에 생활의 변화가 예상되는 생물 중 나라에서 지정해 관찰하는 종을 말해요. 아직 모니터링이 부족한 기후변화지표종인 거미류를 함께 관찰해요. 전기차가 밥을 잘 먹고 다니려면?머무름 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AR(증강현실)의 놀라운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충분히 고민하고 확인하며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올바른 AR, VR 기술 문화가 정착할 때 우리의 삶도 더욱 풍부해지지 않을까요? 필자소개 이진석(부산 덕포초 교사)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사람들이 디지털 나라 여행 중 미로에 빠지지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몬스터 잡고 보상 받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매개변수 ‘num’이 75보다 크거나 같으면 힘 효과를 주는 명령이 실행되고, 그렇지 않을 때는 다른 명령이 실행되죠. 이렇게 자주 쓰는 코드를 함수로 약속해 두면 코드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답니다 ... ...
- [특집] 농도를 그려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즉, 보라색 물의 농도는 1/5또는 0.2라고 말해요. 100을 기준으로 모여! 농도를 나타낼 때 분수나 소수를 써도 되지만, 실생활에서는 주로 ‘백분율’을 써요. 백분율은 기준량을 항상 100으로 두고 비교하는 양을 나타내는 방법이지요. 기호 %를 쓰고 ‘퍼센트’라고 읽어요. 백분율을 쓰면 언제나 ... ...
- 도토리슈퍼 머니 어벤져스 함께 행복해지는 머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또 기업이 꾸준히 성장해야 사회도 발전하고요. 그래서 최근에는 어떤 기업을 평가할 때 ‘ESG 경영’을 하는지를 중요하게 봐요.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머리글자예요. 환경을 지키고,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며, 비리를 저지르지 않고 직원을 정당하게 대우하는 ... ...
- [인뷰터] 팬 위해 수학 문제 풀어 주는 아이돌 CIX 용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있는 C9엔터테인먼트에 캐스팅되면서 아이돌로 데뷔하게 됐어요. Q 춤이랑 노래를 그때 처음 배우신 건가요? 네, 맞아요. 노래와 춤을 정식으로 배우니 재밌었어요. 처음 해 보기도 하고 멤버들과 같이 안무를 맞춰 보는 게 즐거웠어요. Q 오늘은 컴백 1주일이 되는 날(인터뷰가 진행된 8월 29일 기준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08이면 x/y=577/408= 약1.41421568627이에요. 고대 그리스인이 발견한 황금비 1 : (1+√5)/2를 구할 때도 펠의 방정식을 이용했어요. 많은 수학자가 펠의 방정식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김도형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방정식의 모습은 매우 간단해 보이지만 풀기는 어렵다는 점이 수학자에게 ... ...
- [현장취재] 필즈상 수상자는 내 멘토! 허준이 교수님의 금쪽 상담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위해 계속 연구하는데 그 크기가 줄지 않지요. ‘나 아는 게 하나도 없구나’라고 느낄 때가 많아요. 그렇지만 앞으로 알아야 할 게 많다는 생각에 가슴이 두근거려요. Q. 전준혁 : 수학을 잘하려면 어떤 자질을 가져야 할까요? A. 허준이 : 콕 찝어 ‘이거예요’라고 말하기 힘들어요. 수학이란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