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전통적인 무생물의 경계에 있는 '활동물질'이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생명은 보다
넓은
정의를 요구하게 된 것이다.수백 년이 지난 뒤에도 싹을 틔우는 하나의 작은 씨앗이나, 괴상한 특성의 바이러스는 살아 움직이는 활동만으로 생명을 규정할 수 없는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생명에 대한 ... ...
98년 이끌 인터넷 핫이슈 4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전혀 별스럽지 않은 듯 일어난다. 그만큼 변화가 빠르다는 얘기다.정보통신이라는
넓은
분야를 줄여 인터넷업계 하나만을 보아도 마찬가지다. 인터넷에 대한 비전과 사업 아이템들은 수없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당장 실현 가능성이 있는 아이템은 그리 많지 않다. 실제로 인터넷이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다시 액체가 된다. 이 순간 열을 주위에 방출하게된다. 액체가 된 냉매를 다시 냉장실의
넓은
파이프 속으로 넣으면 기화 현상이 일어난다. 액화와 기화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냉장고 내부의 열은 계속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인간의 영원한 꿈 영구기관발명가들은 한번 시동을 걸면 자체적으로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램에 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역폭을 향상시킨 제품. 따라서 프로세서와 마더보드가
넓은
대역폭을 지원할 경우 EDO 램보다 훨씬 유리하다. 싱크D램은 1백68핀을 사용해 메모리를 두 개씩 쌍을 이루어 꼽아야 하는 불편도 없어졌다. 72핀 메모리의 경우 데이터 전송 비트가 32비트여서 64비트를 ... ...
2. 우주생활 24시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왕복선과 같이 몸을 고정하지 않고 보다
넓은
공간에서 활동했을 경우에는 앞서 말한 우주적응증후군(Space Adaptation syndrome)이 나타났다. 따라서 근육의 이완 등을 막기 위해 우주비행사들은 필수적으로 운동을 해야 한다. 계획 중인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수 있으리라 믿는다. 엘리는 무신론자였던 칼 세이건의 의견을 대변하고 있다. 그녀는 이
넓은
우주 공간에 생명이 우리뿐이라면 ‘공간 낭비’라고 역설한다. 생명은 어디에서든 환경만 만족되면, 탄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그러나 파머는 증명할 순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있다고 믿는 ... ...
다이어트 거울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상은 항상 실물보다 작게 보이고, 가깝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볼록거울은 평면거울보다
넓은
범위를 보여주는 장점이 있어, 운전할 때 측면에서 다가오는 자동차나 사람을 파악하기에 효과적이다.실험에서 만든 볼록거울과는 정반대의 모양을 갖는 오목거울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로 쓰인다.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검은 분말을 흡인해 복사지 위에 영상을 만들어낸다.또 굴곡이 심한 복잡한 면이나
넓은
면적에 고루 도료를 칠하는 정전도장(塗裝)도 정전기를 이용한 방법. 전기나 가스기구, 기계부품, 완구 등을 도장하기 위해서 10만V의 직류 전압을 걸어 정전기를 유도해 놓고 도료를 내뿜으면 고루 흡착된다.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다시 복구되지 않으며, 바로 사막화되기 쉽다. 그래서 생태학자들은 공극 간격이
넓은
열대우림의 토양을 ‘젖은 사막’이라 부른다.열대우림에서 벌어지는 화전식 영농방법의 문제는 한번 파괴된 토양이 쉽게 복구되지 않는데 있다. 이 지역의 생태계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유기물질들이 순식간에 ... ...
바늘구멍 황소바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세다.19세기 초 프랑스의 과학자 베르누이는 통로가 좁은 곳을 통과하는 공기는 통로가
넓은
곳을 지나는 공기보다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공기뿐만 아니라 모든 유체에서 마찬가지다. 흔히 쓰는 물뿌리개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넓은
곳을 통과하던 공기분자들은 갑자기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