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원
부원
d라이브러리
"
내부사람
"(으)로 총 2,504건 검색되었습니다.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20세기 IT 산업과 같은 호황을 21세기에는 MEMS에서 맛볼 것이다. 이같은 프론티어의 꿈을 앉고 앞으로 나가고 있는 국내 MEMS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이다. 이 사업단을 찾아가 국내 MEMS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지난 2000년 세계적으로 IT 산업이 최고의 각광을 받으면서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EMS가 IT와 만났다. 광속과도 같은 인터넷이 첨단 초소형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하는 IT의 미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다. IT 기술의 발전에 MEMS는 어떤 역할을 담당할까.2010년 사람들로 붐비는 도심의 거리.정보통신단말기판매업체가 이제 갓 출시된 따끈따끈한 신형 단말기를 홍보하는 거리판촉전을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EMS가 바이오와 만났다.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빠른 시간 안에 자동으로 실험해주는 초소형칩, 인체 내에 삽입돼 수술하지 않고도 진단·치료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중이다.언제인가부터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말이 유행처럼 쓰이기 시작했다. 소니의 워크맨이 점점 작아져서 카세트 테이프 하나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벌은 수많은 알과 꿀을 저장하기 위해 육각기둥의 집을 짓는다. 그런데 왜 하필 육각기둥일까. 그 까닭을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의 도형문제로 풀어본다.인간생활의 기본적인 3요소 중 하나인 집. 하지만 인간뿐 아니라 새나 곤충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에게 안식처는 중요하다. 때문에 사람만이 집 ... ...
전자레인지에 목욕시킨 애완견을 넣는다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요즘 사람들은 전자제품을 구입할 때 제품이 우리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 같다. 그런데 만약 청소하다가 우연히 TV 위에 올려놓은 꽃병이 넘어져 물이 TV 속으로 들어간다면 어떨까. 또는 어린 아이가 가늘고 긴 철사를 TV 뒷면 환기구에 찔러 넣는다면?이처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겨울이면 늘‘방콕’신세를 면치 못했던 과동이. 올 겨울에는 기필코 뭔가를 해내겠다고 결심한다.다름 아닌 스노보드. 비장함마저 감도는 과동이가과연 스노보드를 잘 타낼 수 있을까. 눈 덮인 설원을 시원하게 가르며 계곡을 상쾌하게 질주하는 스노보더. 형형색색의 보드복은 흰 설원과 어울려 ... ...
쫄깃쫄깃한 면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지금 내 눈앞에 달콤한 향기 물씬 풍기며 유혹의 주파수를 쏘아대는 한 접시의 스파게티가 있다고 상상해보자. 쫀득쫀득한 면발이 혀에 감겨지는 그 느낌이란! 상상만으로도 입 속 가득 군침이 감돈다.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그래서 ‘입에 착 달라붙는’ ... ...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초등학교 학생에게 자기집을 그려보라면 아마 절반 이상은 아파트를 그릴 것이다. 전체적으로 네모난 모양이지만 각 집에 나있는 문과 창문도 사각형이고 각 방의 바닥도 사각형이다. 건축은 자연을 모방한 것이고 자연에는 수많은 형태가 있는데 왜 하필이면 사각형을 사용했을까. 주변 건축물의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지난 12월 초음파 진단과 태아에 관한 논문 두편이 발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 논문은 초음파 진단시 태아가 지하철이 다가오는 것과 같은 상당히 시끄러운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뜻밖의 내용이고, 또다른 논문은 초음파 진단이 태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1만분의 1초보다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성은 단 1회의 탐사를 통해 전체표면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정보를 얻었다. 수십회의 우주탐사를 통해 90% 이상의 상세한 지도를 가진 금성이나 화성에 비하면 초라한 결과다. 하지만 그전 수세기 동안 지상에서 수집한 정보보다 더욱 값진 것이었다.수성은 수메르시대부터 존재가 알려진듯 하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