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후 1파트에 나올, 위성이 탄생하는 메커니즘 7가지를 숙지한다면 못할 것도 없다. 이를 그림과 만화로 미리 이해해 보자. 직접 만드는 방법은 3가지, 다른 소천체를 뺏는 포획 방법은 4가지다.행성이 탄생하고 남은 물질이 뭉쳐 만들어지는 경우. 대부분 규칙위성이 돼 모행성과 같은 방향으로 얌전히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다르게 날아가는 경우다. B는 A보다 공 뒤에서 일어나는 역류(위 그림에서 흰 연기,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가 적다. 공기가 분리되는 지점(화살표)이 A보다 뒤에 있기 때문이다. 패널과 패널 사이의 ‘홈’이 분리점을 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역류가 적은 B의 경우, 뒤에서 공을 잡아당기는 힘(항력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힘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했는데, 이것이 바로 탈진기(escapement)다. 왼쪽 그림은 대형 시계에 널리 이용됐던 핀휠 탈진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탈진기는 진자와 연결돼 있다. 진자는 진폭에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로 흔들리므로(등시성) 탈진기도 일정한 간격으로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들어 보면 문자를 읽지 못 하기 때문에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더 키우거나, 그림으로 이해하거나, 대사를 듣고 외워버렸다고 해. 정말 대단하지? 난독증은 머리가 나쁜 사람들이 걸리는 병이 아니야. 생각보다 훨씬 흔한 증상이란다.초등학생의 약 5%가 난독증2013년 교육부에서는 우리나라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교수는 그 이유를 '인장재의 힘이 하나의 점으로 모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예를 들어 그림❶과 같은 거미줄에서 3개의 고정점에 각각 연결된 모든 인장재(거미줄)는 'ㅇ'모양의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하는 '힌지(hinge)'를 따라 서로 이어져 있다. 이때 고정점과 거미줄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런 다음, 레벨측량기가 설치된 곳의 높이($b$)를 빼면 땅의 높이($h$)를 구할 수 있어요(그림❸)." 지금은 첨단 지도 시대!요즘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지도를 접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정확한 지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독자기자들은 지리정보과 이지훈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게임 프로그래머는 거의 없어도 돼요. 게임을 재밌게 구성할 수 있는 디자이너와 그림을 예쁘게 그릴 수 있는 아티스트 그리고 프로그래머 몇 명만 있으면 되죠. 그런데 이렇게 기존 게임 엔진으로 게임을 만들면 게임이 다 비슷비슷해요. 새로운 게임은 만들 수 없죠.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게임을 ... ...
- 영업직은 역시 외향적인 사람이 제격?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영향(약 60%)이 가장 큰 요소이다. 모든 성격 요소들이 어느 정도 그렇지만 외향성이라는 그림은 반 이상이 태어날 때 이미 그려져 있다는 것이다. 즉 외향성은 잘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특성이다. 매우 내향적인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외향적인 사람이 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일은 잘 일어나지는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하지만 모든 변수를 고려하더라도 운석의 분포는 10~20km의 범위를 넘지 않을 것이다. 그림으로 본다면 진행방향을 축으로 하는 긴 타원에 가까운 분포이다. 즉, 이번 유성으로 발생한 운석들은 오직 진주 지역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니 다른 지역에서 운석을 찾는 수고를 하지 마시길….Q 진주 ...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후보자가 반드시 당선돼야 한다는 성질이다. 가령 A, B, C에 대한 투표 결과가 다음 페이지 그림과 같을 때 보르다 점수법을 적용하면 B가 당선되는데, A는 15명 중 과반인 8명으로부터 1위 표를 받고도 당선되지 못한 것이다. 반면 최다득표제는 가장 많은 득표수가 동시에 과반이라면 무조건 그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