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위원회가 구성됐다. 이어 1월 12일 러시아 항공우주국에서는 미르를 태평양에 수장시킬
공식
적인 날짜를 3월 6일로 결정했다. 당초 미르 수장일자는 2월 27일이나 28일로 알려졌다. 이제 우주정거장 미르는 정해진 최후를 향해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다.단명한 각국 첫위성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아주 크다. 그러나 신혼의 방 작업에서는 아직 수학과 기하학에서 출발한 선형 원근법의
공식
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선형 원근법은 컴퍼스와 눈금자로 그리는 수학적 원근법이다. 만테냐는 천장 복판에다 동심원 몇개를 그려서 마치 우물 구멍처럼 뚫려 보이는 무한대의 공간을 창조했다. 만약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와 ‘우리 선조의 자랑·과학과 기술의 이야기’(1956, 1957년)가 있다.조선통사는 북한의
공식
적인 최초의 전체 역사서이지만, 전통 과학기술문화의 항목조차 마련돼 있지 않고, 이에 대한 내용 역시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와 달리 우리 선조의 자랑·과학과 기술의 이야기는 금속활자나 측우기,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온하늘을 뒤져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견만큼이나 새로운 소행성의 궤도 예측은 힘들다. 따라서 소행성이 언제 얼마만큼의 확 ... 천체의 이름이 최종 확정되면 MPC에서 발행하는 소행성회람을 통해 소행성 발견 사실이
공식
화된다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강동군 강동읍 대박산 동남쪽 기슭에 있는 단군릉에서 단군과 부인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과연 이 유골이 5천년 전 고조선을 세운 단군의 것일까.빈약한 신상명세서역사자료는 단군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고조선을 건국했다는 단군의 신상명세서에 쓸 수 있는 내용은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상준_ 복제인간의 인권 문제를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요.
공식
적으로 복제인간은 금지돼 있지만…. 영화에서 애완동물은 리펫(Repet)이라는 용어를 등장시켜 합법화시키고 있습니다. 복제인간도 육신만 과학기술에 의해 만들어낸 것이지 그 안에 깃들어진 영혼은 실제 우리와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사용하기를 꺼리는 용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무런 의식없이 쓰고 있으며
공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Paralympic이라는 용어는 고유명사로서 발음대로 '파랄림픽'(한글표기법)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어원은 paraplegia(하반신마비)와 Olympic의 합서으로 아려져 있는데, 이는 1964년 동경 파랄림픽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않고 있어 미국의 협조 없이는 표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현재 미국의
공식
입장은 유전자변형농산물이 안전성에서 기존식품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므로 유전자변형농산물에 대해 별도의 표시를 하는 것은 자유무역에 위배된다는 것이다.다행히 지난 1월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건설한 사람은 누구일지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세계 7대 불가사의의 경우
공식
적인 이름은 ‘세미라미스의 공중정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공중정원을 건설한 장본인으로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도 거론되기 때문이다. 결국 두사람 모두 공중정원을 건설했다고 보면 의문점이 ... ...
IC 레코더의 종류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카세트 녹음기에 비해 비싼 편이다. 특히 외국 제품은
공식
적으로 수입되지 않아 국내에서 직접 구하기도 힘들고, 국산 제품도 선택의 폭이 넓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또한 제조회사와 제품모델에 따라 녹음시간, 성능,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다.삼성전자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