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2,6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06
“안녕하세요. 저희는 이번학기 과학반 수업을 맡게 된 이화여자대학교 WISE 센터 학생들입니다. 여러분을 만나게 돼 반갑습니다.” 단정하고 편안한 차림의 여대생 5명이 목련만큼이나 환한 웃음을 지으며 3월 서울 중암중학교 교단에 섰다. 과학반 학생들은 대학생 언니, 누나와의 만남이 설레인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06
보면, 자연과학개론은 교양과목 중 인기가 가장 낮은 강좌다. 그는 초
등학교
때부터 고
등학교
까지 12년 간 과학을 배울 만큼 배웠는데 대학에서도 똑같이 하는 것이 그 이유라고 본다. 이제는 과학 자체가 아니라 과학에 대해, 즉 과학학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자연과학개론을 과학사,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06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기는 기호식품 껌. 졸음을 방지하거나 입냄새를 없애주는 것은 기본이고 충치를 예방하거나 두뇌기능을 활성화시킨다는 기능을 지닌 껌까지 등장하고 있다. 껌은 이렇게 다양한 장점을 갖지만 동시에 만만치 않은 단점을 지닌다. 바로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껌이 일으키는 문제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05
회상했다.3년 간의 모스크바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치올코프스키는 초
등학교
산수교사가 돼 학생을 가르치는 한편 연구활동을 계속했다. 이 시기에 그는 기구(氣求)에 관심이 많아 금속제 비행기와 같은 획기적인 구상을 했으며 집안에 풍동장치를 만들어 비행물체의 저항에 대해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05
덜렁이 고등학생 김전일은 공부도 잘 못하고 운동에도 소질이 없다. 하지만 소문난 명탐정 긴다이치 코우스케의 손자답게 추리력만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김전일과 그의 여자친구 미유끼는 매번 우연한 기회에 살인사건에 휘말리는데, 김전일이 그 사건을 해결한다. 김전일이 겪는 살인사건에 ... ...
로봇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200305
말한다.스승인 가토 교수의 만남은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일이었다. 중·고
등학교
를 다니면서 로봇은 그렇게 간단히 만들 수 없는 것이란 사실을 알게 된 다카니시 교수는 크게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와세다대에 입학해 가토 교수의 연구실을 찾아간 후 그는 꿈을 다시 찾을 수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05
보호해준다.바다가재도 자기감각 지녀지구 자기장은 눈에 보이는 존재가 아니다. 초
등학교
때 막대자석 주위에 존재하는 자기장을 살펴보기 위해 종이와 철가루를 갖고 하던 실험을 기억하는가. 막대자석 위에 종이를 놓고 다시 종이 위에 철가루를 뿌리면 막대자석이 만들어낸 자기장의 모습이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05
생물학은 중학교 때부터 좋아하긴 했지만 대학에서는 건성으로 했거든요. 대신 고
등학교
때부터 어학에 관심이 많았는데, 특히 불어는 대학에서 30학점 이상 정식으로 수강했어요. 이때 배운 불어가 계속 삶의 뒷받침이 되고 연결고리가 돼주었죠.”이병훈 교수는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생태학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04
관심을 갖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대학에 들어와서 물리학에 재미를 잃었어요. 고
등학교
까지 물리는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는데 대학 내용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도통 이해가 가질 않았어요. 그래서 대학 3학년 때 철학을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죠. 3-4학년 때는 부전공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4
우리는 한국과학사를 잘 모른다. 가장 큰 요인은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외국어대 사학과의 박성래 교수는 한국과학사를 다룬 저서에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만큼 우리들 사이에는 한국과학기술을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는 세계과학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