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해양생물이 육지생물보다 2배 빨리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것이 생물종을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해양이
인간
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계속 가져다주게 하려면 새로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
2019.05.02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상하면서 나의 팬심을 담아 “이세돌 9단이 기계를 이긴 마지막
인간
이길 바란다”고 썼다. 이 말이 사실이 되리라고는 나는 그때 짐작조차 못했다. 구글 알파고와 경기에서 첫 수를 놓고 있는 이세돌 9단 - 한국기원 제공 일주일 뒤인 3월 9일 이세돌과 알파고의 첫 대국이 ... ...
발기부전 치료제 '타다라필' 심장 잘 뛰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치료에 쓰이는 최대 권장 용량인 타다라필 20㎎을 49일간 투여했다. 양의 심장은
인간
심장의 크기와 비슷하고 해부학적으로도 유사하다. 타다라필을 복용하지 않은 양 42마리 중 34마리는 49일 내로 심부전 관련 증상을 보이며 죽었다. 반면 타다라필을 복용한 27마리는 모두 49일까지 살아남았다. ... ...
반기문 "미세먼지 해결에 사회적 비용 불가피. 국민 총의 모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항상 용서하고
인간
은 때때로 용서하지만 자연은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며 환경 문제가
인간
의 시급한 과제임을 강조했다”며 “자연의 엄중함을 깨닫고 고칠 것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 비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 위원장은 “다양한 ... ...
“이것이
인간
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일본의 무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가 금속 물체를 뽀아 만든 인공 충돌구(크레이터). 크기는 약 20m로, 하야부사2는 나중에 충돌로 나온 지하 물질을 채취해 귀환할 예정이다. 사진제공 JAXA 일본의 두 번째 무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가 탐사 대상인 소행성 ‘류구’ 표면에 인공 크레이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
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 townlab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 ...
“우주에서 활약할 ‘작은 변신 로봇’ 만들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교수는 로봇을 연구하는 기계공학자다. 캐나다의 대학과 서울대에서 로봇을 연구했다.
인간
의 팔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팔이 대표적인 연구 성과다. 손은 8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돌고, 팔 역시 7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돌았다. 무게는 3.7kg이었다. 하지만 백 교수는 “좀더 도전적인 연구를 오래 하고 ... ...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저자명은 '베타 라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작가로서의 역할은 오히려 확대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쇼넨버그는 “미래에는
인간
이 만든 콘텐츠와 AI가 만든 콘텐츠가 혼합되는 다양한 제작 옵션이 있다”며 "AI의 발전이 제조업체가 감소하면서 동시에 디자이너가 증가한 지난 몇 세기 동안 제조업이 걸었던 자동화의 길과 크게 다르지 않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몸은 우주에서 어떤 변화를 겪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미치는 것은 아닐 것”이라면서 “매우 적은 표본에 따른 결과긴 하지만 6개월이 지나면
인간
의 몸은 주변 환경에 다시 적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실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우주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
2019.04.13
대한 태도를 물었다. (왼쪽부터) 세포분열이 여러 번 일어난 수정란, 수정된지 12일 된
인간
배아의 현미경 사진, 태아 일러스트. 과학동아 제공(자료 네이처) 그 결과 보수적인 사람들은 태아를 사람으로 인지하는 측면에서 낙태 반대 이유를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명 존중을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