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6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배고픔·식욕 등 인간 본능 수식으로 표현한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넓히고 인간의 본능마저도 수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김규식 박사과정생은 “이제 추상적인 개념들도 인공지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126/sciadv.ado182 ... ...
애벌레에서 자라는 버섯 동충하초,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조사할 수 있게 됐고 이를 통해 코디세핀의 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더욱 명확히
확인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doi.org/10.1002/1873-3468.1504 ... ...
이론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생긴 작은 블랙홀 '씨앗'이 초대질량 블랙홀로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관측으로는
확인
된 바 없다. 서 연구원은 "블랙홀 씨앗이 가볍든 무겁든 한 번의 '식사' 동안 질량 증가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블랙홀 LID-568의 작동 메커니즘을 ... ...
원자핵은 어떻게 생겼을까...고에너지 핵충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기술로 우라늄의 원자핵을 관찰한 결과 3개의 관측 축에 따라 미묘한 형태의 차이가
확인
됐다"며 새로운 관측 기술은 원자핵의 밝혀지지 않은 복잡한 구조를 규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10.1038/s41586-024-08097- ... ...
장애물 만나면 진동...시각을 촉각으로 대체하는 웨어러블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전달하는 기능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표피 VR의 정확도를
확인
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건강한 참가자가 눈을 가리고 장치를 착용한 채 경로에 있는 장애물을 피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참가자가 장애물에 접근하자 표피 VR은 장애물이 있는 방향에 압력을 가해 주변에 ... ...
[동물do감] 청각 잃은 모기, 짝짓기 흥미도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신경세포에서 전기 활동이 유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통해 청각 기능을 상실했다는 점도
확인
했다. 청각을 잃은 수컷 모기를 암컷이 있는 공간에 집어넣자 수컷은 암컷의 날갯짓 소리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모기에게 청각은 로맨틱한 관계를 갖기 위한 욕구를 일으키기에 충분한 ... ...
[과기원NOW] KAIST, '美 대선 이후 대한민국 과학기술 주권 확보 전략' 토론회 성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유전율을 갖는 물질들로 이루어진 경계에서도 표면 전자기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
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지난달 30일 온라인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광희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창업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필름 제조업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제1회 IAEA 세계 핵융합에너지 그룹 회의 참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홈페이지에서 동향 카테고리에 과학기술 동영상 메뉴를 추가해 동영상 등 콘텐츠를
확인
할 수 있다.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은 6일 서울대에서 한국다양성협의체 주관 ‘2024 한국 다양성 포럼’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다양성 트렌드와 한국의 대응전략’을 ... ...
"낮에 꾸벅꾸벅 존다면 치매 전조 증후군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분석 결과 445명 중 268명은 평소 잠을 잘 잤지만 177명은 수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연구 시작 시점 운동 인지 위험 증후군이 있는 참여자는 42명이었고 연구 기간 36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했다. 낮에 졸음이 자주 쏟아지며 활동에 대한 열정이 부족하다고 답한 사람의 35.5%가 운동 인지 ... ...
차세대 반도체 뉴로모픽 소재 '마그논' 미세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기가헤르츠(GHz, 1초에 10억 번 진동하는 진동수 단위) 영역에서만
확인
되던 마그논 구조를 메가헤르츠(MHz, 1초에 100만 번 진동) 영역까지 확장해서 관측할 수 있다. 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면 뉴로모픽 소자도 더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어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