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독자"(으)로 총 2,3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책을 만나다 (2)] 여성의 진화 - 과거의 몸으로 현대를 사는 여성들 동아사이언스 l2017.06.07
- 준비했습니다. 저자를 만나서 궁금한 것을 묻고, 어떻게 읽으면 되는지 힌트를 얻어와 독자와 공유하겠습니다. 뭐, 더러는 번역자에게 묻기도 하고, 출판사에게 질문도 할 예정입니다. 많이 공유해주시고, 읽고 싶은 책은 서점에서 구매해주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과학책을 만나다 (2 ... ...
- 산소운반 필수 단백질, 예쁜꼬마선충이 ‘헴’ 농도를 유지하는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6.06
-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서로 ‘대화’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각 세포가 독자적으로 헴 농도를 유지한다는 기존의 관점을 깬 것이다. 미국 메릴랜드대와 국립보건원(NIH) 공동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세포나 기관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헴 농도를 조절함을 확인했다고 5일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3] 아는지 모르는지 알고 싶다면 쓰라!2017.06.04
- 큰 도움이 된다. 논문을 쓰는 행위가 연구자를 성장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중을 독자로 한 글을 쓰는 것도 과학자를 성장시킨다. 글로 전하는 내용을 제대로 알고 있지 않다면, 사람들에게 글로 그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도 존경하는 한 교수님이, 나의 대학원생 첫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2] 좋은 글은 자랑하지 않는다2017.06.03
- 체 하는 곳이 아니다. 쓰는 이가 아니라, 읽는 이를 위해 써라. 단어 하나, 문장 하나, 독자가 이해할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해라” ☞ (함께 읽기)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1] 설명할 수 없다면 모르는 것이다 ☞ (함께 읽기)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3] 아는지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1] 설명할 수 없다면 모르는 것이다!2017.06.02
- 읽지 말아야 할지는 쉽게 답할 수 있다. 저자 스스로도 알지 못하고 쓴 책은 단 한 명의 독자도 이해시킬 수 없다. 책을 읽다 방금 마주친 문장을 이해할 수 없을 때, 내가 아직 생각이 부족하기 때문인지, 아니면 저자가 이해하지 못한 문장을 쓴 것인 지를 자문해본다. 만약 두 번째 이유라면, 그런 ... ...
- 한반도를 넘어, 세계의 핵안보를 지킨다동아사이언스 l2017.05.31
- 상호보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수출통제 교육을 독자적으로 제공할 뿐 아니라 교육내용도 가장 세분화돼 있지요. 불과 개소 후 2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꾸준히 저희 센터로 핵비확산·핵안보 교육을 받으러 찾아오고 ... ...
-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5.25
- 라돈으로부터 우리집은 과연 안전할까요? 과학동아몰에서 정기구독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측정기, 라돈아이를 2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합니다! 과학동아몰에서 ‘라돈아이’를 검색하세요. *피코큐리(pCi) : 라돈 등 방사선의 측정 단위. 1큐리(Ci)는 라듐 1g이 1초 동안 방출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입는 현상이다(‘자중지란(自中之亂)’이란 사자성어에 해당). 자가면역질환이 생소한 독자들도 많겠지만 이 질환은 대체로 알레르기보다 증세가 더 심각하고 사실상 완치가 되지 않는 만성질병이다. 미국의 경우 여성 사망원인 10위 안에 들어간다. 알레르기도 근본적인 치료제는 없지만 어쨌든 ...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05.21
- 가능하다. 문의 (02)3148-0823 ● 더 읽을거리 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별과 생명의 씨앗 우주먼지’(2011.9)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109N03 ... ...
- [백개사전 03] 개밥남 천재견 ‘뚜이’? 사람을 좋아하고 잘 따르는 시베리안 허스키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털갈이 시즌이 되면 말 그대로 털을 ‘뿜게’ 됩니다. 빠지는 거 아닙니다, 뿜는 거예요. 독자 여러분께서 상상하는 그 이상입니다. 추위에 강한 스피츠 계열 견종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스피츠 견종의 개는 시베리안 허스키 외에도 알래스칸 말라뮤트, 사모예드, 스피츠, 포메라니안, 시바견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