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심리를 과학으로 탐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주변에서 보는 신호등의 보행신호는 왜 초록색이고, 정지신호는 왜 빨간색일까요? 빛의 색에 따라 사람의 심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흔히 말합 ... 시각을 찾았다면 어떤 색을 보고 일반사람과 똑같이 느낄까요?’ 색에 대한 느낌은 빛의
특성
때문일까요, 경험 때문일까요? 생각해 봅시다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비밀’을 연재했다. 제멋대로 생긴 것처럼 보이는 애벌레의 모양을 다리와 털의
특성
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도 해 봤다. 그냥 불쾌한 존재였던 애벌레의 가치를 인정해 주고, 애벌레의 놀라운 생명력이 선사하는 특별한 감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지난 1년간의 글이 종의 다양성에 대한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발달시키면서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변하는데 이를 ‘가소성’이라고 부른다. 뇌의 이런
특성
때문에 뉴로피드백이 뇌의 신경망을 새롭게 발달시키고 뇌 전체 조직을 재정비하여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명상 역시 뇌의 가소성 때문에 가능하고 효과가 나타난다. 뉴로피드백이 좀 더 쉽게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활용할 수 있다. 여름에는 기온보다 바닷물이 차갑고 겨울에는 바닷물이 따뜻한
특성
을 이용하면 바닷물과 약간의 전기로 냉난방이 가능하다. 찬물을 순환시키면 냉방, 뜨거운 물을 순환시키면 난방이 되기 때문이다.박 센터장은 “제주 지역은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따뜻하다보니 오히려 냉난방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까운 열수분출구를 통해 이동한다. 따라서 지역마다 열수분출구 주변 생물의 종류나
특성
을 파악하면 생물들이 어떤 경로로 움직이는지 알 수 있다. 랭뮤어 교수는 “그동안 인도양과 태평양 사이에 생물이 어떻게 이동했는지에 대한 자료만 없었다”며 “이번 발견으로 열수분출구를 통해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리듐을 섞는 일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었다. 각 금속의
특성
이 워낙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녹는점 차이가 크다. 이리듐을 녹이려면 쇳물을 2466℃까지 높여야 한다. 그러나 쇳물의 온도가 900℃만 넘어도 금합금에 넣는 아연은 증발해 날아가 버린다. 연구팀은 이를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동물인 개에 대해서도 모르는 것 투성이다. 그들의 행태나 진화적
특성
에 대해서는 더더욱 무지하다. 개는 어떻게 인간과 살게 됐을까. 야생 늑대가 우연히 사람의 거주지에 들어와 살다가 지금의 개가 됐다는 의견이 많지만, 유전자로 진화계통수를 분석해 보면 두 종이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속슬렛추출기’를 테크노파크의 사용허가를 받아 실험했다. 사막 딱정벌레 표면
특성
을 본뜬 물포집 장치를 제작한 Water for all팀은 여름 방학에 KAIST에서 전자현미경을 이용했다. 직접 산업체에 방문한 팀도 많았고 기존 연구방법 중 적합한 것이 없어 아예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팀도 있었다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준결정의 구조만 빌려 금속합금을 새로 설계할 수도 있다. 결정의 구조에 따라 금속의
특성
이 변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쓰던 금속합금이라도 구조를 바꾸면 새로운 재료로 탈바꿈한다. 결정의 구조를 그야말로 ‘타일을 붙이듯’ 만들면 새 소재가 탄생한다.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획기적인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먹힌 흔적을 잘 살피면 언제나 애벌레를 관찰할 수 있다. 게다가 애벌레의 형태나
특성
을 익혀 ‘척 보면 알 수 있는’ 수준이 되면 많은 종류의 애벌레를 확실하게 만나게 된다.살아있는 애벌레와 맞부딪히면 그들이 쉬거나 먹는 모습, 위협행동이나 천적의 재빠른 공격은 물론 자극적 방어와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