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랜드
d라이브러리
"
친구들
"(으)로 총 3,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남극에도 식물이 살고 있나요? 남극은 기온이 몇 도나 되나요?”작년 23호에 실렸던 남극 특집기사에서 제28차 월동연구대원분들이 남 ... 박사님 말씀처럼 10년 후, 또는 20년 후에 멋진 극지 연구원이 되어 있는
친구들
을 만나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느릿느릿 달팽이 두 마리가 언덕을 기어가다가 서로 마주친 순간! 어머나! 뒤에 핑크빛 하트가 뿅~ 생겨났어요. 여기에 미세한 물방울이 사방으 ... 이렇게 아름다운 사진들이 탄생할 수 있었겠죠? 나다브 바김 작가의 사진을 더 보고 싶은
친구들
은 홈페이지(www.aimishboy.com)로 놀러가 보세요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도와 주지 않을래?이집트 숲모기야, 안녕? 모기를 좀 소개해 줄래?올해 이미 모기를 만난
친구들
도 있겠죠? 모기는 보통 한국엔 4월 말~5월쯤 나타나 10월쯤 사라지죠. 작아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모기는 생각보다 종류가 많아요. 무려 3500종이나 된답니다. 그 중 10%에 해당하는 모기의 산란기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학생들도 과학을 매개체로 다양한 문화와 생각을 가진 또래
친구들
을 만나 시야를 넓히길 바란다.Q. 올림피아드가 선행학습이나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부정적인 시선이 있는데IJSO는 단기간의 사교육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운 대회다. 실제로 대표로 선발되는 학생들을 보면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기억할 수 있도록 특별한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해요. 를 다 읽은
친구들
이 잡지 내용을 토대로 퀴즈를 내서 교실 한편에 있는 퀴즈함에 넣는 거예요. 이렇게 모인 퀴즈 쪽지를 한 달에 한 번씩 꺼내서 반 아이들 모두가 함께 풀고 있지요.정 교사는 “함께 책을 읽고, 재미있는 퀴즈로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장상빈 관장님“ 공부도 놀이하듯이 즐기세요!” 기자단
친구들
은 마지막으로 장상빈 관장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어요.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해 세계최대의 과학월드를 만들고 싶다는 관장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봐요!Q 이렇게 크고 넓은 과학관을 만들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난 이빨이 없거든요.저는 주로 하와이나 서아프리카 쪽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친구들
은 저를 만나기 어려울 거예요. 또 우린 주로 육지에서 먼 바다 50~500m 깊이의 심해에 살고 있답니다. 수면 쪽으로는 잘 올라오지 않지요. 그래서 우리가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낚시로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재는 와트 저울을 개발 중이랍니다. 이제 초파리인 내가 조금 달라 보인다고? 후훗!
친구들
도 사소한 일상 속 과학을 찾는다면 언제든 사소 요정을 불러 줘~! 그럼 그때 다시 만나~! 엥~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더 좋은 게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내가 그린 그림이 게임 속으로!? 마지막으로
친구들
은 스스로 게임 그래픽 자료를 손으로 그려서 게임에 적용했어요. 배경과 캐릭터를 직접 디자인했다는 뜻이에요. 게임카페 수업을 진행한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은 “4시간이란 짧지 않은 시간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같은 순서였다. 자신과 관련 없는 분야에서 잘나가거나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친구들
의 이야기를 들을 때보다 자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을 때 그리고 이때 뇌에 나타나는 반응은 ‘고통’이다.연구팀은 다음으로 최고야 씨와 평범해 씨가 시험 도중 부정행위를 한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