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알 수 없다. 명목상으로는 학자들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우리 은하계에서 최초로 외계인과 만날 때는 본 모습이어야 한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본 모습이란 무언가. 진화를 거친 직립 보행 동물이 우리의 본 모습일까? 이제 우리에게 옛 육체란 언제든지 물질을 조합해 다시 만들 수 있는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어울리며 최신 기하학과 광학을 익힌 니세롱은 1638년에 애너모포시스 이론을 정리한 최초의 책 을 발표했어요.헝가리의 그래픽 디자이너 이스트반 오로스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왜상 화법의 대표 주자예요. 오로스에게 물어보니 작품을 만들 때 니세롱의 책을 참고한다더군요.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깨달았던 것들을 토대로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춘다. 최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된 파비올라 지아노티 박사에 대한 질투심을 드러낸 부분에서는, 그의 유머감각에 웃음이 나온다. 물리가 비록 복잡하고 어렵지만, 다른 사람들과 교감했던 이야기 속에 녹아 있어서 그런지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프로젝트의 비밀 정보가 핵무기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15년 뒤인 1964년에는, 중국이 최초로 핵 실험에 성공하며 미국을 충격에 빠뜨렸다. CIA는 당시에 이런 기록을 남겼다. “서방국가를 제외한 그 어떤 곳에서도 기체원심분리법으로 무기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미 핵무기를 개발한 소련에도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구애 행위가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백악기 대형 육식공룡이 짝짓기를 하려고 구애한 흔적을 발견해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구덩이 모양의 화석 50여 개를 미국 콜로라도 주의 1억 년전 중생대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았다. 카메라 두 대가 조용히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내보내고 있을 뿐이었다. ‘일본 최초의 행성탐사선 궤도 진입 성공’이라는 타이틀을 생각하면 의외였다.5년 전의 실패에서 ‘재수’ 성공까지아카쓰키의 첫 시도, 쓰라린 실패는 정확히 5년 전인 2010년 12월 7일에 있었다. 금성 궤도에 진입하기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개성 있는 감각은 보는 이를 또 다른 세계로 인도한다. 경기도 용인 벗이미술관에서 국내 최초로 개최한 정신장애 화가들의 작품 전시회를 찾아, 이들의 작품과 내면세계를 들여다봤다. 푸른 별밤을 배경으로 사자 한 마리가 웃고 있다. 갈기엔 머리빗처럼 보이는 물건이 붙어 있고, 달처럼 생긴 ... ...
- 외국 기자가 본 환태평양 지역의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국가에서 가장 먼저 산업수학에 관심을 가진 나라는 일본입니다. 지난 2011년 아시아 최초로 산업수학연구소를 세우고, 수학을 산업 현장에 접목시키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일본 산업수학연구소는 기업이 수학 전공자들을 채용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여러 분야에서 수학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교수팀은 백색왜성과 보통 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중 하나가 나머지 별(동반성)의 물질을 받아 폭발하는 초신성으로, 백색왜성과 적색거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연 양자역학적 원리를 이용해 연산을 한 것이 맞는가에 대한 논란은 디웨이브의 최초 모델인 디웨이브1 때부터 수년째 계속되고 있다. 쟁점을 짚어봤다. 1097개의 양자?NASA는 디웨이브2X가 1097개의 큐빗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디웨이브2X는 여러 양자 물리계 중에 초전도체 조셉슨 소자를 사용한다.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