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서열
순번
순위
순차
질서
등위
d라이브러리
"
차례
"(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제안한 과학자들이 실험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기대효과를
차례
대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초파리 노화 유전자 연구’를 제안한 건국대 조경상 교수는 “이 박사와 함께 우주로 떠난 초파리 1000마리 가운데 살아 돌아온 600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했다”며 “3만 2163개의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역사만큼이나 탐사활동도 활발하다. 동아리 회원들은 1년에 20여
차례
탐사여행을 떠나 80여개의 동굴을 탐사한다.“주로 지금까지 사람의 발길이 닿은 적이 없는 미개척 동굴을 탐사했어요. 캄캄한 동굴에서 파이프 오르간 같이 흘러내린 종유석 벽을 만나 손전등을 비출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함께 타고 대회 공식 경기정 ‘G-마린호’의 성능을 직접 체험했다. 요트는 파도에 한두
차례
흔들린 것 외에는 거의 요동 없이 파도 위를 미끄러지듯 달렸다. 하지만 요트 안에서는 길모어 팀의 크루들이 좀 더 속도를 내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균형을 잡기 바빴다.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는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충분한 흙이 모였다. 휴~. 이제 본격적인 분석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같은 실험을 몇
차례
더 한 뒤 분석 결과를 수 주일 내에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다.이번 탐사 기간 동안 기대했던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2010년 내 뒤를 이어 화성에 올 NASA의 대형 정밀 탐사로봇 ‘마스 사이언스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버섯도 있다. 우리 몸속에 알코올이 들어오면 아세트알데히드(숙취 원인 물질)를 거쳐
차례
로 분해되는데, 이 버섯에 들어 있는 코프린이란 물질은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효소의 작용을 막아 알코올이 체내에서 아세트알데히드 상태로 축적되게 만든다. 그래서 머리가 아프고 매스꺼우며 구토가 나는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차를 기준으로 정한다.7.5cm 내외면 A컵, 10cm 내외면 B컵이다. 2.5cm 커질 때마다 알파벳을
차례
대로 붙인다.한번 손상된 쿠퍼 인대 회복 어려워여성의 유방이 왜 이렇게 생겼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다른 포유류는 새끼에게 젖을 먹일 때만 유방이 불지만, 인간 여성은 몸통에서 돌출된 반구형 모양을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기울여 두개강(頭蓋腔)의 내형(內型)과 하악골(下顎骨) · 이 · 사지골(四肢骨)의 연구를
차례
로 정리하여 발표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는 구내염 단순포진(單純泡疹) · 대상(帶狀)포진 · 구제역(口歸疫) 등의 아프타성(性) 구내염이 대표적이다이 밖에 마진 · 풍진 · 수두 · 헤르팡기나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렸다.하지만 일정 주기를 두고 여러
차례
계속되는 너울과 달리 죽도를 덮친 파도는 한
차례
만 발생했다는 점은 해결되지 않은 의문으로 남는다. 게다가 이번 사건의 경우 서해안 해수면의 상승 정도나 국지적인 기상자료가 많지 않아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아무리 예측하기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삶의 방향이 어떻게 바뀔까. 부통령 후보에 오르거나 농부가 되거나우주인들은 단 한
차례
우주비행을 한 업적으로 평생을 먹고 살 수 있다. 그들의 경험 자체가 우주개발의 귀한 자료이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우주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 싶어 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세계의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酵素電極)이 제안되었고, 70년대에 미생물 센서 · 면역 센서 등 생물화학 센서가
차례
로 제시되었으며,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바이오일렉트리닉스센서(bioelectrinics sensor)라는 새로운 생물감지기의 시대가 열렸다생체(生體)에 미치는 날씨 ·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