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즉 우주거울은 보름달 3~5개에 해당하는 밝기의 빛을
지상
의 특정지점에 비추었는데···지난 2월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광채나는 플라스틱 조각을 우주에 떠올리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밤을 낮으로 바꾼다는-적어도 일몰시간을 연장한다는-매혹적인 생각을 현실화한 첫번째 시도였다.러시아의 미르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손으로 푸는 것이 아니라 일정 깊이까지 채수기를 넣어 물속에서 뚜껑을 열어야 하니
지상
보다 몇배나 힘이 들었습니다. 교과서에 해양에 대한 얘기가 나오지만 실제 느껴보고서야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원들의 애로를 이해하게 됐어요. 부산에서 교편을 잡고 있으니 만큼 앞으로 해양에 대한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조정한다. 정확한 위치에 왔으면 조절나사를 고정너트로 굳게 잠궈 고정한다. 물론
지상
물체를 통해 조정을 한 후에도, 본격적인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를 대상으로 다시 주망원경과 파인더를 번갈아 가며 확인해 양쪽이 일치하도록 완벽히 조정해야한다. 극축 맞추기(adjustment to pole) (그림 3)에서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를 마이크로웨이브에 실어
지상
에 쏘는 형태. 현재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전기를 실어
지상
으로 쏘게 되면 전송효율이 30%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태양전지에서 태양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효율이 20%를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이 실용화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미래 ... ...
오로라 관측하는 프레이아 위성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의 아리안 로켓으로 쏘아올린 적이 있다. 이 위성은 1년정도 활동하면서 꽤 많은 자료를
지상
으로 전송해주었다. 해적 바이킹의 시대가 가고 여신 프레이아의 시대가 온 것이다.프레이아와의 교신은 스웨덴 키르나시에 있는 에스렌지에서 이루어진다. 스웨덴은 수년간 과학위성을 쏘아올리기 위해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우주정거장 모습으로 설계됐다. 전망대의 총무게는 4백t으로
지상
에서 조립해 40m 높이까지 끌어올렸다.미래를 상징하는 탑의 상단부는 '미래에의 도약'을 의미하게끔 약간 차가우면서도 빛의 반사가 잘 이루어지는 스텐레스스틸로 만들어진다. 높이 55m 지점에는 제2전망대가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24일에는 월령1정도의 아주 작은 달과 접근하게 되므로
지상
의 물체와 함께 2백㎜정도의 망원렌즈로 사진에 담는다면 아주 훌륭한 사진이 될 것이다. 토성은 올 8월에 다시 충이 되므로 4월경부터는 새벽 동쪽하늘에서 볼 수 있다.■93년의 새희망 금성금성은 1월 1일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얻은 종자를 지구에서 심었을 때 그들 대부분은 정상적으로 자랐고 열매를 맺었다.
지상
의 식물에 비해서 열매를 맺는 정도가 낮았던 것은 사실이나 국소중력 상태에서 얻어진 종자를 통해서도 분명히 새로운 종자가 만들어졌고 발달도 정상적으로 이뤄졌다.우주에서 여러 세대의 생장과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발생하는 동물의 배는 우주여행을 하는 동안에 완전히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지상
에 있을때와 비슷한 발생양상을 보였다. 예컨대 우주선에 승선하기 직전에 수정된 개구리 알은 정상적으로 부화해 올챙이 시기까지 무난하게 성장했다. 또 임신한 쥐는 우주선에서 출산했으며 이 우주가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소음 습기가 없는 진공상태이고 우주정거장은 무중력상태이기 때문에 우주정거장은
지상
에서 만들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수환경을 이용한 과학연구의 분야로는 식물의 성장, 동물의 성장 및 번식, 신약 및 신소재의 연구개발 등 다양하다.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들은 200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