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7*,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벽히 알려드립니다! “우리는 블랙홀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지난 4월 10일 오후, 전 세계가 떠들썩했어요. 국제 연구 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팀이 최초로 포착한 블랙홀의 사진을 공개했기 때문이죠. 이날 EHT 연구팀이 공개한 ...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세계 각지에서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 노력한 연구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지난 4월 어과동 홈페이지를 통해 남긴 어과동 독자 기자들의 질문에도 대답해 주셨답니다! ┼인터뷰 “남극에서 블랙홀을 관측했어요!”_김준한(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천문학과 연구원) Q EHT 프로젝트에서 어떤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건설까지 모두 국산화가 이뤄졌고, 오히려 세계를 이끄는 시스템으로 거듭났다. KVN의 지난 10년보다 앞으로의 10년이 더욱 기대된다. “인연처럼 만난 전파망원경” 제도흥 선임연구원 땅속에 묻힌 파이프를 찾는 전파 안테나를 만들던 내가, 하늘에서 오는 전파를 관측하는 전파망원경을 ...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세슘137이 섞인 오염수가 처음 동해로 유입되는 데 1년이 걸렸고, 사고 이후 4~5년이 지난 2015~2016년 동해에서 세슘137 농도가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단기적인 영향은 방류 후 1년 뒤부터 나타나고, 장기적인 영향은 4~5년 뒤 정점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doi: 10.5194/os-14-813-2018물론 하나의 논문을 .. ...
-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어린이과학동아의 이창욱 기자입니다. 지난 4월 10일, ‘사건지평선망원경’ 연구팀이 블랙홀의 윤곽을 담은 사진을 최초로 공개했습니다. 과학계의 잊지 못할 역사적 순간이었는데요, 어떤 블랙홀을 어떻게 찍은 건지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제가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문제 없어! 지난해 우수탐사대원으로 뽑힌 대원들의 노하우를 듣는 시간도 있었어요. 지난해 6기 탐사대에 처 음 참여했음에도 무려 5종의 임무를 마친 해피가 든 팀의 김윤아 대원(경기 화성 한마음초)은 “처음에는 뭐가 뭔지 잘 몰라서 조금 헤맸지만, 첫 번째 기록을 앱에 올리고는 수료를 할 수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재권V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어 전원을 공급하고 인공지능(AI)을 넣었습니다. 지난 호에서는 냄새를 맡고 소리를 들으면서 주변 상황도 파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어떤 일도 잘 해낼 수 있습니다.그러나 로봇이 인간의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 임무를 완수하는 것 외에 ... ...
- 마라톤 대회에 사용된 먹는 음료 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난 4월 29일, 영국 런던마라톤대회에선 결승점을 5km 앞둔 지점부터 참가자에게 일회용 페트병 대신 해초 추출물로 만든 캡슐에 음료를 담아 나눠주었어요. 이 캡슐은 먹을 수 있는 캡슐 ‘오호(Ooho)’예요. 오호는 플라스틱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6주 안에 생분해되는 것이 장점이지요. ...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난 4월 22일, 40일 간 똥일기를 쓴 네 명의 친구가 쎌바이오텍 연구소에서 만났어요. 6주 동안 빠지지 않고 똥일기를 열심히 쓴 우수 참가자를 위한 특별 견학이 마련돼 있었거든요. 우리가 먹는 유산균 제품들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참가자 명단. 곽도윤 (인천 작전초), 김상규 (서울 마포초), ... ...
- 호금조, 다양한 머리 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정확히 어떤 유전자가 이런 특징과 관련돼 있는지는 알아내지 못했어요. 그러던 중 지난 4월 23일, 영국 셰필드대학교 연구팀은 호금조의 머리 색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알아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조류의 성염색체인 Z염색체 안의 특정 부위에 빨강, 검은 머리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있단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