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남이 간질일 때와 스스로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해봤습니다. 여기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cerebellum)였습니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하는데, 내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는 사람들에게는 사정이 달랐을 것이다. 은성을 아는 새로운 감염자는 그 감정을 자기 식으로 재해석하며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렇게 누적되고 강화된 기억과 감정은 기침을 통해 또다시 전파된다. 그 기억에서 기억의 주체를 골라낼 수 없었던 것도 이해가 된다. 심창대의 기억이 그렇게 쉽게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환자는 손과 손목,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물건을 잡거나 들었고, 전자기타를 치기도 했다. 보턴 연구원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사고를 당한 뒤에도 뇌가 신호를 정확히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면서 “컴퓨터라는 우회로를 통해 마비된 부위를 ... ...
- [과학뉴스] 곤충 다리의 천연 ‘깁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고칠 수 있을까. 아일랜드 연구팀이 사막 메뚜기(Schistocerca gregaria )를 이용해 곤충의 자기치유능력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내놨다. 사람은 상처가 나면 피가 엉겨 붙으면서 상처를 봉합한다. 이와 비슷하게 곤충은 다리 등이 부러지면 새로운 큐티클이 흘러나와 굳으면서 붕대 역할을 한다.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 성과에 큰 영향을 미쳐요. 저는 브릭이 살아있다고 생각해요. 수많은 사람이 자기 생각과 고민을 나누는…, 일종의 사이버인격체랄까. 좀 미친 생각이지만.황우석과 광우병으로 명성을 얻다“무서웠어요.” 1998년부터 실무진으로 브릭을 이끌어 온 이강수 실장은 접속자가 폭주하던 2005년 말을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배워야겠어. 메기야~. 나와 함께 지구를 정복하지 않을래?닥터 그랜마 : 메기야,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메기 : 저는 메기 중에서도 ‘픽터스 캣피시’라고 불리는 종이에요. 평균 몸길이가 11cm 정도로, 메기 중에선 작은 편에 속한답니다.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긴 수염을 자랑하지요. 이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어찌나 빠르게 뛰어가는지! 저렇게 큰 알이 계속 뛰면 노른자가 출렁거리지 않을까?뭐? 자기는 끈으로 단단히 붙잡고 있어서 괜찮다고? 그건 또 무슨 소리야?알은 세상에서 가장 큰 세포!달걀을 포함한 모든 동물의 알은 그 동물의 새끼를 키워내는 ‘아기집’이에요. ‘난황’이라고도 부르는 ... ...
- [소프트웨어] 내 짝꿍을 소개하는 앱!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렇게 하면 수동이에 대한 정보를 읽어주는 앱을 만들 수 있답니다. 아마 1월호의 자기소개 앱을 만들어 본 독자는 만들기가 좀 더 수월했을 거예요. 코딩클럽 오프라인 수업에 방문하면 개발자 선생님께 앱 만들기를 좀 더 자세하게 배울 수 있어요. 이 앱 덕분에 짝꿍과 더욱 친해지길 바랄게요! *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존 하이날을 캐리어와 함께 공동지도교수로 모시게 됐다. 하이날은 이타성이라는 자기 파괴적인 행동이 어떻게 선택되었는가에 대해서 흥미를 보였지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진 못했다. 어쨌든 해밀턴은 캐리어와 하이날의 대학원생으로 독자적인 연구에 돌입했다.1960년 말, 해밀턴은 얄궂게도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유 없이 한대 맞으면 ‘이 사람 왜이래?’라고 생각하죠? 그런데 계속해서 맞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내 존재 혹은 내가 하는 행동이 폭력의 원인이라는 생각을 하게 돼요. 이 과정에서 ‘인지적 왜곡(cognitive distortion)’이 발생합니다. 이 왜곡을 바로잡는 치료가 최우선이죠.”하 박사가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