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단봉낙타는 지난 3000년 동안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들의 발이었다. 하지만 단봉낙타가 어떻게 가축화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선택됐는지는 알려진 게 없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수의대 연구팀은 단봉낙타가 가축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됐고, 적외선으로 온도가 낮은 별, 자외선으로 온도가 높은 별을 보게 됐다. X선과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천체를 보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GIB지난해 국정원의 원격조정시스템(RCS) 구입으로 대한민국이 시끌시끌했다(1파트 참조). RCS를 판매한 해킹팀의 고객은 37개 국가, 67개 기관이며 가장 활발히 거래한 국가는 멕시코(11개 기관)로, 해킹팀에 지불한 금액이 무려 580만8875유로(약 72억8200만 원)다. 이렇게 엄청난 돈이 오고 가는 해커들의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월 초. 기자는 부산에서 열린 국제가속기콘퍼런스(IPAC 2016) 현장을 찾았다. 각국의 가속기 개발 및 운용 현황을 전하는 IPAC은 전세계 과학자 1300여 명이 모이는 대규모 국제 행사다. 행사장에서 만난 정순찬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은 “학회에 참가한 과학자들이 한국형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로봇을 만들기 훨씬 더 전에 사람들에겐 다른 꿈이 있었다. 인간 신체의 일부를 그러모아 새로운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 소설 ‘프랑켄슈타인’으로 대표되는 이 같은 희망은, 20세기 초 빠르게 발달하기 시작한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공 망막미국의 ‘세컨드 사이트 메디컬 프로덕트’사는 망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아르거스Ⅱ’를 개발했다. 선글라스에 달린 소형 카메라가 풍경을 촬영하면, 이 영상이 몸 외부에 휴대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적절한 전기신호로 변환돼 망막에 이식한 마이크로칩으로 무선 전송된다. 이 신호가 시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려면 많은 걸 알아야 한다.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화이트밸런스…. 조정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아 초보라면 혼란스러울 지경이다. 이럴 때 필요한 건 ‘자동(Auto)’ 기능이다. 자동 모드에 놓으면 카메라가 외부 상황에 맞춰 적당한 값을 알아서 설정해준다. 계산과학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누군가 인간을 중상모략했음이 틀림없다. 특별히 나쁜 짓을 한 것 같지도 않은데(사실은 아니지만) 어느 날 느닷없이, 인간만이 지니고 있다고 믿었던 여러 특권적 지위가 깡그리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우선 세상이 인간을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믿음이 깨졌다. 동물과는 다른 영적 존재라는 신념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암호와 비밀번호는 엄연히 다르다. 암호는 메시지나 통화 내용 등을 제3자가 알아보지 못하게 글자나 숫자, 부호 등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비밀번호는 본인을 증명하는 고유한 문자열이다. 1파트에서 다뤘던 내용이 암호에 대한 마스터키였다면, 2파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비밀번호의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이 지긋한 노(老)교수는 기술 발달을 지켜보며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말을 기회 있을 때마다 했다. “로봇이 도입되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겠죠. 모름지기 사람이 노동 현장에 있어야 삶의 가치를 찾고 자아도 펼치는 법인데…” ‘미래 사회에 대한 여러 모델을 만들어 사람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