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d라이브러리
"
위험
"(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하지요. 정확한 조사나 검토 없이 제품개발을 추진하면 시행착오 과정이 늘어나 실패할
위험
이 커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와 의논하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위해 교통 법규를 위반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자신의 행동이 다른 차에 미치는
위험
을 비교해 융통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일부 로봇 전문가는 윤리적 소프트웨어나 로봇윤리 로드맵(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국제전화 전체가 불통된 적이 있다.(해당 전화국을 밝히는 것 역시 우리나라의 통신망을
위험
에 노출시키는 행위가 된다.)하지만 마당발에 해당하는 ‘허브’를 공격하더라도 전체가 마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브리지’로 연결한 경우로, 망가진 회선만 차단하면 다른 회선에 피해를 주지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길이를 연장해 발목을 인위적으로 굽힐 수 있도록 외과 수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위험
부담이 커서 환자가 수술을 망설이고 있다.모션캡처, 직접 체험하기!독자기자들은 운동연구실 내부에 설치돼 있는 모션캡처 오픈 스튜디오에서 직접 모션캡처를 체험해 보았다. 모션캡처를 위해서는 마커를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가능성이 높지 않겠니?구석기 시대 사람들을 생각해 보렴. 그 때는 수명도 짧고 자연의
위험
을 그대로 받아 안던 시기라 빨리 아이를 낳았어야 했지. 지금 네 엄마 나이의 사람들에게 이미 손자, 손녀가 있었단다. 그리고 그 때까지 살아남은 사람도 그렇게 많지 않았지. 그런데 남아 있는 치아와 ... ...
엄마가 느낀 공포, 냄새로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엄마가 느낀 공포가 아기에게 유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임신 전에 느낀 공포까지 유전된다. 비밀은 냄새다.미국 미시간대 의대 및 뉴 ... 쥐는
위험
한 것이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 한다”며 “하지만 어미 쥐가 냄새를 통해 가르쳐준
위험
은 오래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푸른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
을 알린다. 하지만 최근, 전혀 다른 방식의 ‘식물 대화법’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버지니아공대 김건준 연구팀은 식물이 DNA의 복사본인 전령RNA(mRNA)를 사용해 대화를 한다는 사실을 새로 밝혀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까다롭다. 조그만 로봇은 넘어져도 그대로 일어나면 되지만 무겁고 큰 로봇은 파손
위험
성도 높다. 로봇 제작비가 한 대에 수억 원에 달할 만큼 비싼 것도 걸림돌이다.그래서 어덜트 리그는 1대 1 승부차기에 가까운 시합을 벌인다. 한 대가 골키퍼를 맡으면, 상대팀 로봇이 혼자 공을 몰고 가 슛을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의학저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자이르 바이러스는 에볼라 바이러스 중 가장
위험
한 종으로 치사율이 80%에 달한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바이러스 간에 DNA 서열 차이 3%는 굉장히 크다”고 설명했다.이 3%의 차이가 치사율을 낮췄을 가능성이 높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우리 몸에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건의식이 낮고 정부와 의료진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이다. 높은 인구밀도도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최근 에볼라 환자가 9명이나 발생한 나이지리아는 인구 1억7700만 명으로 세계 7위 인구대국이다. 아프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왜 WHO가 비상사태까지 선언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