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꿈을 설계하는방법을 알려주는 장면에 무한계단이 등장했다. 반복되는 무한계단은
영화
의 핵심 내용이었던 순환구조와 의미가 일치한다.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은 180°다. 그런데 두 각이 모두 90°인 삼각형이 있다. 1954년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세 막대를 이용해 두 각이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계속 생각하기 때문이다. 더 행복해지기를 원한다면 시계나 아이폰을 새로 사지 말고
영화
나 여행 티켓을 사라는 주장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셈이다. 이 결과는 지난해 ‘성격 및 사회심리학 회지’ 1월호에 소개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서바이벌 오디션의 과학 - 경쟁하는 당신이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군(광성중 3학년)과 심단비 양(명지중 2학년)이 장려상을 받았다. 초등부에선 고재현 군(
영화
초 6학년)이 최우수상(국립과천과학관장상), 이예은 양(구남초 5학년)이 우수상(한국수학교육학회장상), 이건호 군(국제창의미션스쿨 6학년)이 우수상(동아사이언스 사장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유성재 군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불리는 은하의 중심에서 거대블랙홀이 뿜어내는 제트가 아득한 빛의 방출처럼 목격된다.
영화
는 허블우주망원경이 담아 낸 황홀한 우주의 모습을 관객에게 선사한다. 그 화려한 영상을 글에 모두 담을 수 없어 안타깝다.우주비행사들의 목숨을 담보로 하면서까지 NASA가 허블우주망원경의 서비스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지지하는 소수의 바람이 끝까지 지켜질 수도 있을 것이다. 누적투표제는 아카데미
영화
제의 수상작을 결정할 때나 스위스와 독일의 의회 선거에서도 이미 사용하고 있다. 결과를 계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은 제작진의 몫에 맡긴다.아무튼 완벽하게 공정한 투표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적어내야해. 그러려면 지금부터 다양한 책을 접할 필요가 있어. 꼭 책이 아니어도
영화
나 다큐멘터리에 대한 감상평을 적어도 돼. 어떤 내용이든 감명을 받고 네 꿈에 결정적인 계기가 돼줬다는 내용을 적으면 돼. 그렇다면 컴퓨터는 좋아하니?” “별로 안 좋아해요.” “공학도가 되려면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25년만에 새롭게 번역했다. 1962년 출간된 에팅거의 ‘냉동인간’은 수많은 과학소설과
영화
에 영감을 준 저작이다. 인간의 생명을 냉동보존술로 연장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진지하게 과학적으로 묻고 있다. 당시의 최신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논리를 전개하지만, 읽다 보면 ‘생명’과 ‘죽음’이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모두 10등신도 아니다. 만일 신체비율에 초점을 맞춘 특수 안경(?)을 끼고 이
영화
를 보게 된다면 몸매가 캐릭터들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을 눈치챌 수 있다.가장 평범한 마을 사람들은 현실 속의 사람들처럼 7등신 정도다. 7등신으로 등장하는 마을 사람들은개성이 드러나거나 우월한 자태를 ... ...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포함해 다섯 작품을 제작했다. 그의
영화
중‘압연강 XC-10’은 캐나다 몬트리올
영화
제에 초대되기도 했다.2008, 다양한 주제를 설명하는 포화포화, 통신에서 신호가 너무 많아 전송된 메시지가 모호해지거나 식별하기 어려운 상태.우리는 동시에 전달되는 다량의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산다. 따라서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토해낸 실로 몸을 감아 거의 보이지 않게 하고 대롱대롱 매달린 채 미동도 하지 않는다.
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톰 크루즈처럼. 먹무늬재주나방 애벌레는 비단실 끝에 몸을 의지해 실을 타고 오르내리는 생존 전략을 사용한다. 5령이 되면 와이어에 매달려 온몸을 지탱하기가 무거워 다른 방법을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