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용합니다.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퍼져있는 y값을 일정 범위 안의 값으로 변환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그 중 ‘시그모이드 함수’는 자연상수(e)를 사용한 함수로 그래프가 S자형 곡선입니다. y의 값이 0부터 1 사이에 존재한다는 특징을 갖죠. 이 함수에 앞서 구한 가중치 함수 H(x)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리스 시대의 두 가지 난제와 달리 원적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이유는 오랜 시간 동안 증명하지 못했습니다. 원적문제가 해결할 수 없다고 증명된 건 1882년입니다. 원적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π를 자와 컴퍼스만으로 그릴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원의 넓이는 반지름을 제곱한 값에 π를 곱한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는 24개를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한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01이 가장 많은 조건을 만족해 MVP(most valuable planet)로 선정됐습니다. 나이가 약 55억 살이고, K형 주계열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아냐”하지만 특정 연령층의 상대적인 위험이 낮다고 해서 그 자체로 등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많습니다. 우리는 이미 소아·청소년들의 집단감염 사례를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학원, 어린이집 등을 통한 감염입니다.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소아·청소년이 ... ...
- [만화뉴스] 인터넷 속도가 왜 이렇게 느리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KT의 10Gbps 인터넷 요금제를 쓰고 있었는데 실제 속도를 측정했더니 100분의 1인 100Mbps밖에 안 된다는 점을 영상으로 공개했어요. 1Gbps는 1초에 약 10억 비트, 한글로는 6250만 글자를 보낼 수 있는 속도예요. 1Mbps는 1초에 100만 비트, 한글로는 6만 2500개 글자를 보낼 수 있는 속도예요. 유튜버가 이런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된다는 말이 안 나왔습니다. 마치 그렁그렁한 눈에 마법이 깃들어 있는 것 같았지요. ‘안 돼! 이러다가 삐뚤란을 잡지 못하겠어!’어느새 딱지는 시청 앞 광장에서 벌어질 공연의 무대를 세우는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미치겠네. 어쩌다 이렇게 된 거야. 저 눈을 보지 말아야 하는데.’하지만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집 구조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분극현상에 주목했어요. 분극현상은 어떤 분자가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으면, 분자 안의 (+)전하는 (+)전하끼리, (-)전하는 (-)전하끼리 모여 극성을 띠게 되는 현상이에요. 음파는 공기입자들을 따라 전달되는 파동으로, 이 과정에서 매질인 공기 입자들이 뭉치거나 흩어져요. 이때 분극현상을 일으켜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공원(1993년)’의 주요 캐릭터는 그 모습이 세로로 긴 공룡이니, 공룡의 움직임을 프레임 안에 잘 담으려고 2.35:1보다 세로 공간을 더 확보한 1.85:1로 만들었어요.‘소울’의 주인공인 조는 기존 픽사 캐릭터와 조금 달랐어요.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이라서 전체적인 캐릭터의 실루엣은 얇은데, 손발은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면 차 안에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해진다. 앱 스토어에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거의 무한히 쌓아놓은 애플이 유리한 건 당연한 얘기다. 심현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스마트폰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정 교수는 “과학 소통을 하는 과학자들이 많아져 굳이 직접 나서지 않아도 돼서 한동안 연구에 몰두했다”고 말했다. 2019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치료의 메커니즘을 밝힌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출판하기도 했다. 정 교수는 “친한 지인에게 국내에서 네이처 논문과 베스트셀러 책을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