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떴다 떴다 종이비행기~♬ 멀리, 오래 날리는 비법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슈웅-. 푸른 하늘을 가르며 날아가는 멋진 비행기.앗, 그런데 자세히 보니 진짜 비행기가 아니라 종이비행기예요! 그런데 종이비행기 날리기에도 국가대표가 있대요. 국가대표로 활약했던 선수들에게 높이, 멀리 나는 종이비행기의 비결을 물어봤어요. 어수동 종이비행기도 국가대표가 있어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그림의 모양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원기둥 가족!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본책30쪽, 놀이북23쪽과 함께 보세요! 보통 각기둥에서는 모서리를 따라 잘라서 펼친다고 생각하고 전개도를 만들어요. 그러나 원기둥의 옆면은 둥글어서 모서리가 없어요. 그래서 옆면을 자르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그림이 나올 수 있지요. 옆면을 사선으로 자른 그림이 원기둥이 될 수 있다는 사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으아~. 정말 답답하네. 역사적 기록에도 독도는 우리땅이고, 현재 독도에서 사는 사람들도 대한민국 국민이잖아. 그런데 왜 우기는 거야~. 명쾌한 증명이 필요하겠는걸? 예를 들면 수학으로 증명하는 거지! 일본의 독도연구가 가와카미 겐조는 1966년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논리를 펴기 위해 ‘다케 ... ...
- [기획] 수학 학습량을 보는 다른 시선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큰 줄기인 총론 주요사항 발표를 앞두고 교과과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인공지능에 필수인 수학 역시 그 중심에 있습니다. 수학 교과과정의 방향을 두고 논란이 펼쳐지는 현장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국가교육회의는 지난 5월 17일부터 6월 17일까지 ... ...
- [기획] 수학 교육 강화, Yes or No?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 교과를 둘러싼 화두 중 하나는 ‘수학 교과 내용을 늘릴지 말지’에 대한 수학 교육 강화 문제입니다. 이에 대해 수학자와 수학교육학자, 수학 교사들의 생각은 어떤지 자세히 들어봤습니다. 한은진 (충북 청석고등학교 수학 교사) 찬성 / 우리가 대부분 사용하는 모 ... ...
- [에프매스의 무의식 퍼즐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생각이 많아 머리가 복잡해졌다고?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은 특별한 비밀 공간에 초대하지. 여기는 나, 에프매스의 무의식 속이야. 난 휴식이 필요할 때면 무의식 세계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해. 하지만 소중한 나만의 공간에 아무나 들일 수 없지. 퍼즐을 푼 사람만 다음 세계를 구경할 수 있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매달 한 명씩 소개합니다. 이번 주인공은 함께 풀고 싶은 문제(함풀문) 코너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놀라운_폴리매스’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를 해 주세요. 저는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내정초등학교 6학년 김태윤입 ... ...
- 글꼴, 작은 사각 틀 안에 무한한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글꼴은 변화무쌍했다. 재료는 ㄱ, ㄴ, ㄷ, a, b, c처럼 정해진 문자가 전부고 색칠도 꾸밈도, 과한 크기 변화도 제한됐지만, 시대와 도구, 기술을 반영하며 모습을 바꿨다. 각 획은 해체되고 조립되길 반복하면서 각자의 내력을 쌓아갔다. 작은 사각 틀 안에 담긴 문자는 그렇게 다양한 글꼴을 얻었고,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글자의 선 하나하나에 세상 만물을 담는 사람들이 있다. ‘ㅎ’의 꼭지에는 장대한 하늘을, 양쪽 사선으로 곧게 뻗은 ‘ㅅ’에는 젊은이의 역동성을, ‘ㅏ’의 삐침엔 조선 말기 황제의 마음을 담는 식이다. 글꼴에 세상을 표현하고, 다시 세상에 글꼴을 내보내기까지의 과정을 세 명의 글꼴 개발자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렇게 대담한 도둑이라니, 두 눈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원래 도둑질이라 하면 주인이 집에 없을 때 빈집을 털거나, 쉽게 눈치채지 못하도록 가방이나 주머니에 있는 물건을 슬쩍 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이 작은 도둑은 주인 몸에 버젓이 나있는 털을 뽑아갑니다. 지난 7월 27일 국제학술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