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그 결과 보통 때라면 쉽게 물리칠 수 있는 미생물들이 물밀 듯이 몰려와 우리 몸을
먹이
로 잔치를 벌인다. 에이즈가 시작되는 것이다. 일단 이 단계로 돌입하면 대부분 1-2년 내에 사망하게 된다 ... ...
고래가 잠수병으로 죽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보고 있다. 소나는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한 장비로 강력한 초음파를 발사한다. 고래 역시
먹이
에게 초음파를 쏜 뒤 반사파를 감지해 위치를 확인한다. 그러므로 초음파 자체로는 고래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의심을 받고 있는 것은 초음파로 인한 소음. 군함에 사용되는 소나는 초음파를 보다 멀리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커피는 몸에 좋다는 담소까지 곁들여 가면서….카페인에 취한 거미가 지은 거미집에는
먹이
가 걸리지 않는다그렇다면 커피나무는 왜 카페인을 만들까. 단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가져다주려고? 물론 카페인을 만드는 능력 때문에 커피나무는 인류의 도움으로 지구상의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 ...
손해보기 거부하는 원숭이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원숭이를 두 그룹으로 나눠 다른 우리에 가뒀다. 이들은 교환 주화인 플라스틱 토큰을
먹이
와 바꿔먹는 훈련을 받아갔다. 일단 교환의 원리를 익히자 원숭이들은 주저 없이 토큰을 실험자의 손바닥에 놓고 오이 조각을 받아 먹었다.브로스넌 교수는 공평성의 개념을 실험하기 위해, 한 무리의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더욱 개량된 것이며 페니실린처럼 세포벽의 합성저해가 주체이다세포 안으로
먹이
를 받아들여 소화시키는 현상 소화계(소화관과 소화샘)에서 이루어지는 세포외소화와는 대응되는 용어이다원생동물 · 하등 후생동물에서 나타난다특히 완전히 동물성인 원생동물에서는 유일한 소화방법이다질병의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조류 등이 광합성으로 유기물을 생산한다. 이런 유기물은
먹이
사슬을 통해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어류 등으로 이어진다. 표층수의 수질은 생물작용뿐 아니라 기상,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간적·공간적으로 변화한다.표층 아래에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무광층이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대청 염색에는 왕겨와 나뭇재도 함께 들어갑니다. 이때 왕겨는 바로 클로스트리듐의
먹이
가 되는 당분이 되고 나뭇재는 산성이 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에드몬드와 존 박사는 전통 염색법이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현재 청바지를 염색할 때는 인디고와 함께 티톤산나트륨이라는 유독성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하나의 생태계 안에서는 아무리 강력한 포식자가 등장해도 생태계가 무너지지 않는다.
먹이
의 숫자가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포식자의 수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계들은 우리와 다른 생태계에 속하기 때문에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태양 에너지를 놓고 무한경쟁을 벌일 수 있다. 결과는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관찰해보자. 잠자리가모기 등의 작은 곤충을 먹어치우는 모습을 통해곤충 세계의
먹이
사슬을 확인할 수 있다. 장수풍뎅이가 교미하는 모습도 진풍경이다. 무섭게만 느껴졌던 나방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도 있다. 나방의 날개를 잡고 더듬이를 살펴보면 미세한 털들로 인해 폭신한 깃털이 연상될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투여하고 나머지는 물만 먹였다.4주 뒤 관찰한 결과 항우울제를 복용한 쥐들은
먹이
에 다가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35% 정도 줄었다. 그만큼 활발해진 것이다. 반면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명랑해진 쥐들의 뇌를 조사한 결과 해마에서 새로 생긴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해 60%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