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d라이브러리
"
대중
"(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좁스는 컴퓨터 이름도 '에니악' '시스템 360'등 기계적인 냄새를 물씬 풍기는 것에서부터
대중
에게 친근한 '애플'(실제 애플의 역사는 실리콘밸리 내에서도 사과나무가 많았던 쿠퍼티노에서 시작된다)로 결정했다고 한다.애플이 성공하자 아타리 아미가 등이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 뛰어들었고, 81년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흑백 720×364 화소를 가진 디스플레이, 그리고 마우스를 가진 아주 값비싼 기계였다. 이때
대중
들에게 선보인 마우스라는 입력장치는 대단한 관심을 일으켰다. 그러나 리자는 뛰어난 기능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가격으로 인해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리자는 매우 느렸고 1만달러라는 엄청난 가격표가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여기에는 과학지식을 알기쉽게 가공하고 새로운 소식을 빠르게 전달하는 과학관련
대중
매체의 힘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꾸준히 공부하는 태도를 가진 일본인들과 이들에게 주어지는 양질의 정보, 이 둘의 상호작용이 '과학일본'의 기초는 아닐까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결정적인 특효약은 없는 형편이다. 이런 사정때문인지 최근에는 건강식이라는 것이
대중
의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그것도 역시 어딘가 미흡하다고 여길 수 밖에 없다.그러므로 한국인의 식생활 가운데 공해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되도록 경감해주고 나아가서 공해때문에 손상을 입은 몸을 낫게 ... ...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특히 비디오폰과 고품위TV(HDTV)
대중
화의 촉매가 될 것이다. 또한 광컴퓨터가 실용화되면 기상예보, 항공기 자동차 선박 등의 설계, 기초학문에서의 복잡한 계산,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등 여러 산업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산업의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편이다. 독일을 중심으로 개발 되고 있는 수소자동차는 그 시제품이 나오고 있으나
대중
적인 인기를 얻기에는 크게 미흡하다. 또 전기자동차는 국내에서도 1975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최초의 연구용 전기자동차를 제작한 이래 자동차 메이커를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중에 있는데 보완해야 할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활화가 촉진될수록 개성이 뚜렷하고 안정성이 높은 디자인을 선택하려는 소비
대중
의 안목 또한 높아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자동차 디자인은 차의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점점 더 중요성을 더해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풍동(風洞, wind tunnel)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음악은 우뇌의 영역이다. 그러나 모든 음악이 우뇌를 단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중
가요는 우뇌적이라기 보다 좌뇌적이다. 가볍고 조용한 클래식 음악은 우뇌를 자극해 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을 즐기는 가정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뇌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이 된다.그밖에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
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회원들 중에도 30% 정도만이 장비를 갖추고 있다. 실험음악으로 시작한 전자음악을
대중
화하려고 애쓰는 전문가집단이 전롱회라면 셈틀소리는 비록 아마추어들이지만 전문가 못지않은 실력을 갖추고 있다. 셈틀소리의 고문인 홍사철씨(KBS 경음악단)는 전롱회 회원이기도 하다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옛날에도 '뜨거운 정도' 나 '차가운 정도'를 눈
대중
으로 알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강이나 호수의 물이 얼 정도로 춥다든지 날씨가 따뜻해지면 강물도 풀린다든지 하는 것을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청동을 녹여 주물로 만드는 기술이 전해져 물이 끓을 때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