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나타난 것처럼 근지점에서는 속도가 빨라지고 원지점에서는 느려지게 된다. 지구
근처
에서 우주선의 속도가 32.73km이므로 화성에 접근할 때는 21.5km 가량 된다. 또한 그때까지 비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백60일 정도이다. 그러므로 호먼 궤도를 이용한 화성으로의 여행은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다 ... ...
2. 우애수, 완전수, 삼각수, 아라비아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그리고 식물의 줄기에서 뻗어 나온 잎(또는 봉우리 또는 가지)을 생각해 보면, 줄기의 밑
근처
에 있는 어떤 잎 하나에서 수직으로 위에 있는 잎까지 도달할 때까지 줄기를 따라 올라가면서 잎의 개수를 세면, 그 수는 일반적으로 피보나치 수열의 항이 된다.만국 공통어 아라비아 수수는 그 자체로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슬기사람이 살았다고 결론내렸다. 또 1935년-1975년 카멜산의 케바라 동굴과 갈릴리호수
근처
의 아무드 동굴에서 네안데르탈사람의 화석이 발굴됐다. 카프체 동굴에서도 많은 슬기사람 화석이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대략 4만년 전-6만년 전의 화석으로 추측됐다. 이런 사실을 종합한 결과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연상시키는데 이들은 모두 두 개의 크레이터가 합쳐져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보름
근처
보름달은 그림자가 전혀 없기 때문에 지형을 관찰하기가 어렵고 밝기도 반달의 12배정도나 된다.이 때문에 달빛을 줄여주는 문글라스를 끼우고 달을 관찰해야 한다.이 즈음에는 광조가 가장 잘 보인다.티코나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때문에 여름철의 통금해제는 새벽 4시
근처
이지만 겨울철의 통금해제는 새벽 6시
근처
가 돼야 한다. 결국 자격루에는 밤의 길이가 변하는 것에 따라 밤 시간의 경점을 치는 눈금자와 구동장치를 하나 더 배치했다. 물론 이 눈금자는 절기에 맞추어 바꾸어주었다.기술시대의 서곡보통 물시계에서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부스러기들을 자기 머리나 등, 그리고 몸통 곳곳에 칠한다. 그리고는 개미집 출입구
근처
에 다가가 조용히 멈춰 있는다. 침노린재 몸에 칠해진 개미집 부스러기들은 흰개미들에게 친숙한 냄새를 풍기기 때문에 아무도 ‘대피하라’는 메시지를 알리는 물질(페로몬)을 분비하지 않는다. 만일 누군가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런 신기한 기구를 아무나 이용할 수 있다는 말인가?” 조선 세종 때 어느 봄날에 종로
근처
에서 있었을 법한 대화다. 세종 16년(1634) 10월 2일 두대의 앙부일구(仰釜日晷)가 종묘 앞과 혜정교에 설치됐다. 앙부(仰釜)는 ‘입을 벌린 솥’을 뜻하고, 일구(日晷)는 ‘해 그림자’를 뜻하므로, 앙부일구는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 특성과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한국인의 시작이 북반구의 바이칼 호수
근처
가 아니었느냐’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비해 최근 북한의 연구자들은 한국인의 조상이 한반도에서 시작됐다는 ‘자생설’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실제로 구석기시대 이래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충분히 물고기의 앞뒤를 구분할 수 있다. 눈과 같은 다른 기관도 뒤보다는 앞쪽의 눈
근처
에 위치하는 편이 나은 것은 분명하다. 물고기는 이미 자기 몸이 지나친 곳보다는 다가가고 있는 곳을 보고자 하기 때문이다. 요약하자면 물 속을 헤엄쳐 다닌다는 단순한 사실 덕택에 물고기는 앞뒤를 구분할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같이 거석을 세워 그 지점을 표시해 두었을 것이다. 차고 기우는 달가끔씩 달
근처
에 밝은 별이나 행성이 올 때가 있다. 이런 날을 골라 먼저 달과 밝은 별 사이의 거리와 위치를 기억해 두자. 그리고 2-3시간 후 둘 사이의 위치 변화를 조심스레 관찰해 보자. 분명 달이 동쪽으로 이동해 가며 둘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